“국민들이 ‘물’이라면, 통신사들은 그 물에서 사는 물고기다. 국민들이 다 싫다(요금인하 해라) 그러면 물고기인 우리는 어쩔 수 없다. 다만 (미래 투자를) 포기하고, 꿈도 깎아내려야 한다.”
정부가 태스크포스(TF)까지 꾸려 마련 중인 요금인하 방안 발표가 다음 주로 미뤄진 가운데, 26일KTF 합병 2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이석채 회장이 통신요금 인하와 관련, 기업투자를 전제로 반대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이 회장은 이날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이 물고기라면, 국민은 물이다. 물이 물고기를 배격하면 못산다”며 최근 통신요금 인하 논란 와중의 통신사 입장을 빗댔다.
이 회장은 “통신사 역할은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새로운 산업에 대해 자기 돈을 투입해서라도 빨리 완성해야 한다”며, “이는 자기 돈을 벌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국민과 국가 이익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이석채 회장은 26일 KTF합병 2주년 간담회에서 '물(국민)과 물고기(통신사)론'을 앞세우면서도 요금인하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화점을 찾아야 발전할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결국 새로운 시대, 다양한 분야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에서 무조건적인 요금인하 관철 시도는 통신사 투자의지를 꺾는 일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한 셈이다.
이 회장은 “‘물(국민)’이 이렇게 하라면 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그러나 그게(요금인하가) 국민을 위해 최선인지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언론의 역할도 함께 주문했다.
표현명 개인고객부문 사장도 거들었다. 표 사장은 “과거 통신사 역할이 통신망 투자 위주였다면, 이제 망 확장뿐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앱?콘텐츠 투자 등 새로운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며, “스마트 혁명 시대, 모든 것을 아우르는 투자가 세계진출 기반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가입비나 기본료 인하 요구 등은 이처럼 4G 확충이나 새로운 미래 투자를 위해서라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표 사장은 요구했다.
이와 관련, 표 사장은 “현재 소비자 합리적인 요금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며, “청소년이나 실버 계층, 서민 대상의 요금상품 제공을 통해 국민 요구를 수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이 회장은 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내비쳤다. 한정된 자원이라는 점에서 수돗물과 전력 등과 같으며, 적절한 관리 등 대비가 없으면 문제가 생긴다는 지적이다.
이 회장은 “비싸고 한정된 자원은 공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요 관리도 중요하다”며, “맘 놓고 쓸 경우, 유한자원이라 남에게 불이익이 간다는 점에서 이는 공동 대처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표 사장은 자사 ‘2G망 철거’ 계획에 대해 “3G 전환은 고객에게 글로벌 로밍이나 다양한 USIM 서비스, 새로운 단말 등 밸류를 주는 것으로, 전환 시 고객 불편도 없다”며, “방통위와 협의를 지속해 잘 마무리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하루 1만명 이상이 3G로 전환하는 추세”라고 표 사장은 덧붙였다.
또한 이석채 회장은 최근 관심사로 떠오른 자신의 연임 건 관련, “난 생각 안해봤는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세요”라고 반문, 웃음을 샀다. 이 회장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
KT는 이날 KTF 2주년을 맞아 그룹경영을 강화하면서 2015년까지 비통신 분야 매출 비중을 전체의 45%까지 확대, 총 40조 매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회사의 2010년 매출액은 25조다.<관련기사: KT “2015년 그룹매출 ‘40조’ 달성”>
또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광고/디지털 사이니지, 범용 보안, 스마트 그리드, 데이터 아날리시스, 바이오 인포매틱스, 매니지드 서비스 등 연 1000억원 이상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신규 아이템 10개 이상을 확보키로 했다.
특히 KT는 스마트 기기 시대, 애플리케이션 성장 가능성에 주목했다. 전세계 40억 인구가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글로벌 앱스토어 ‘WAC (Wholesale App. Community)’과 이른바 ‘아시아 WAC’에 주력하는 자사 입장도 이 때문이라고 KT는 설명했다.
이 회장은 “글로벌 앱 통합시장인 WAC 성사 시, 이거야말로 한국이 도전해볼 만한 엄청난 시장”이라며, “통신사 주도의 강력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무한하게 열린 이 시장의 새로운 성장을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