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 개소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 개소에 댓글 닫힘

방송통신위원회는 12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 센터 개소식’ 행사를 갖고, 클라우드 테스트베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정부 예산 20억 원을 투입, KISTI 슈퍼컴퓨팅센터 내 설치됐다. 민간에서도 매칭 펀드 형태로 SK C&C, GS 네오텍 등 대기업을 비롯, 이노그리드, 필링크, 디지털헨지 등 중소기업 및 MS, IBM 등 글로벌 기업이 테스트베드 구축에 참여했다.

테스트베드는 중형급 서버(서버당 8코어 프로세서 및 16GB 메모리) 200대 규모로 구축됐으며, 스토리지(총용량 180TB) 및 1Gbps급 전용회선(KISTI망 별도)을 제공하게 된다. 서버, 스토리지 및 솔루션 등 IT 자원은 온디맨드(On Demand)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다만, 전용 S/W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테스트베드를 직접 방문하면 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2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SO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 센터’를 열고, 중소 IT기업의 클라우드 관련 기술 제품 및 사업모델 시험?검증 환경을 제공한다.

이날 개소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에서는 ▲가상화된 IT 자원(서버, 스토리지, OS 등) ▲ 클라우드 인프라 ▲데스크톱 가상화, 클라우드 기반 그룹웨어?CRM 등 클라우드 서비스 체험 환경을 지원 및 조성하게 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 및 대학, 연구소가 주 이용자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글과컴퓨터, 안철수연구소, 클루닉스, 틸론, 더존비즈온 등 13개사가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 이용 의사를 밝혔다고 방통위는 덧붙였다.

이용 신청 및 문의는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www.k-cloud.kr/serviceportal) 및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070-8730-2346)에서 가능하다.

한편, 방통위는 내년까지 테스트베드를 서버 350대 규모로 확장하는 한편, 향후 테스트베드를 활용해 클라우드 기반의 융?복합 신규 서비스를 창출?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개소식에는 형태근 상임위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박영서 원장, 최두환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장, 서종렬 한국인터넷진흥원장, 관련 기업 및 전문가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Visited 3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