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과금제 효과 ‘쓸만하네~’

      초당과금제 효과 ‘쓸만하네~’에 댓글 닫힘

SK텔레콤이 국내 처음 도입한 초당과금제의 지난 1개월 시행 효과는 어떨까? SK텔레콤에 따르면, 연간 요금절감 효과는 19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당 약 1000원 가량 월 요금에서 절약됐다.

SK텔레콤(대표 정만원 www.sktelecom.com)은 28일, 지난 1개월 동안의 초당과금제 시행 분석 결과, 요금인하 효과는 3월 한달간 162억5천만원, 연간 19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자사 2482만 전체 고객 1인당 연 평균 요금 절감액은 8천원에 달한다.

설문 결과, 이용자들은 초당과금제의 제도화를 사업자 자율에 맡기는 것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지난 3월초 이동전화 요금 부과방식을 10초당 18원에서 1초당 1.8원으로 변경하는 ‘초단위 요금체계’를 국내 통신기업 중 처음으로 시행한 바 있다.

이 회사 초단위 요금체계는 이동전화에서 발신되는 모든 통화에 적용되며, 통화연결요금(call set up charge)과 별도의 기본과금이 전혀 없는 순수한 의미의 초당과금이다.

회사측에 따르면, 3월 한달 고객들의 이동전화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10초당 과금 기준으로 월평균통화시간(MOU)이 기존 209분에서 초당과금제 도입으로 9.2분 줄어든 199.8분을 나타냈다. 이는 이용자 1인당 MOU가 4.4% 줄어든 것이다.

특히 택배, 퀵서비스 등 생계형 직업을 가진 서민 고객층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월평균 통화시간이 100분 미만이지만 한 달에 150통 정도를 이용하는 고객으로 약 234만명에 달한다. 이들의 MOU는 최대 7.7%까지 감소했다.

출처: SK텔레콤

성별로는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 대비 긴 통화가 많은 여성들의 통화패턴 때문이라는 게 회사측 분석이다. 또 연령대별로는 문자를 주로 많이 사용하고, 통화시간은 짧은 10대들의 인하효과가 두드러졌다. 10대들의 월평균 통화시간은 6.5% 감소해 20대 3.5%, 30대 4.2%, 40대 4.7% 대비 높은 인하효과를 보였다.

출처: sk텔레콤

지역별로는 제주도의 MOU가 5.1% 줄어 가장 인하효과가 큰 반면, 경제활동 인구가 집중돼 있는 서울 및 수도권은 1인당 MOU가 4.2%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을 제외하고는 충청권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4.5%의 월평균 통화시간의 감소를 나타냈다. 충청권은 1콜당 평균 통화시간이 94초로 서울 및 수도권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긴 시간을 통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SK텔레콤이 함께 발표한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초당과금제를 정부가 제도화 해야 한다(54.5)는 의견이 통신사 자율에 맡겨야 한다(33.7%)는 답보다 많아 눈길을 끌었다.

또 1초 단위 요금 선호도(75.2%)가 10초 단위 요금(7.7%)보다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초 단위 요금 도입 여부를 사업자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응답자 중 과반수(56.1%)가 본인이 속한 통신사도 초당요금을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isited 48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