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메모리인 P램을 탑재한 휴대전화가 세계 최초로 1분기 출시될 예정이다.
P램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과 빠른 속도로 동작하는 D램의 특성을 모두 갖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의 OS를 저장하는 노어(NOR)플래시 시장을 대체해 나갈 차세대 메모리다.
삼성전자는 28일, 휴대전화의 운영체제(OS)를 저장하는 용도의 512Mb P램(Phase-Change RAM) MCP(Multi-Chip Package, 멀티칩패키지)를 양산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512Mb P램 MCP가 노어플래시와 같은 동작 모드를 지원토록 해, 휴대전화 제조사는 P램 전용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별도 개발하지 않고도 기존 노어플래시를 대체해 휴대전화에 탑재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에 양산하는 P램 MCP는 노어플래시 대비 쓰기 속도가 3배 빠르며,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모드, 사진?동영상 촬영 등 휴대전화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간을 대폭 줄여준다.
삼성전자는 P램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물질로 Ge(게르마늄), Sb(안티모니), Te(텔루늄) 등이 결합된 신물질을 독자 개발하고, 신개념 설계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켰다.
모바일 메모리는 올해 가장 중요한 전환기를 맞고 있으며, 다양한 기기에서 P램과 같은 새로운 제품을 탑재하기 시작했다는 게 회사측 분석이다.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 메모리 전략마케팅팀장 전동수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모바일 기기에서 40나노급 이하 노어플래시를 대체하는 P램 MCP 솔루션을 출시해 휴대폰 고객들에게 기존 플랫폼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며, “내년에는 LPDDR2(Low Power Double Data Rate 2)와 차세대 P램 기반의 고성능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번에 확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1Gb 이상 대용량, 고성능 P램 제품군을 확대해 휴대전화뿐 아니라 MP3, PMP, 내비게이션 등 모바일 기기는 물론 SSD(Solid State Disk), 디지털TV 등 다양한 제품으로 적용을 확대해 P램 시장을 적극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