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가입자당 보조금을 가장 많이 지급한 이동전화 사업자는 LG텔레콤으로 조사됐다. 10만원에 육박, 8만 4000원꼴인 경쟁 이통사를 압도했다.
6일 방송통신위원회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이동전화 3사가 지급한 약정 보조금액은 총 9527억원이었다. 해당 가입자 수는 모두 1100만명으로 가입자 당 평균 8만 6609원이 지급됐다.
보조금 대상은 번호이동과 신규가입, 기기변경이며, 이 보조금 현황은 이통사들이 대리점에 지급하는 판매수수료 등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가장 많은 보조금을 지급한 이통사는 LG텔레콤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181만명에 총 1777억원을 투입, 평균 9만 8176원을 지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번호이동/신규 보조금 총액은 1624억원(가입자 수 165만 1000명), 기기변경이 154억원(15만 9000명)이었다.
LG텔레콤의 지난 해 평균 보조금 규모는 11만 7992원(보조금 2669억원/가입자 226만 2000명)이었다.
![]() |
||
| ▲ 올 상반기 가장 많이 보조금을 지급한 이통사는 LG텔레콤으로 나타났다. | ||
SK텔레콤과 KT는 박빙을 이뤘다. SKT 경우, 가입자 수 625만 5000명에 보조금 5282억원을 지급, 평균 8만 4444원을, KT가 293만 5000명에 2468억원을 제공해 평균 8만 4089원을 지급했다.
SKT가 번호이동/신규 및 기기변경에 각각 3529억, 1753억원을, KT가 2257억, 211억원을 보조했다.
이들 두 사업자의 지난해 평균 보조금 액수는 각각 7만 5716원, 14만 516원이었다. 지난해 가장 많은 보조금을 쏟아부은 KT가 올 상반기에는 가장 적게 보조금을 써 눈길을 끌었다.
올 상반기, SKT와 LGT가 지난해 전체 보조금의 절반 이상을 훌쩍 넘겨 사용한 데 비해(각 59%, 61%) KT는 40% 수준에 그쳤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올 상반기 KT-KTF 합병을 진행하면서 비용 절감을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LGT가 올 상반기 가장 많이 보조금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초당과금제 및 발신자번호표시(CID) 무효화에 소극적인 LGT 행보가 당장 도마 위에 오르게 생겼다.
당장 서울YMCA가 5일 성명을 통해 LG텔레콤과 KT에 대해 ‘초당과금제’ 수용 및 CID 무료화 참여를 요구하고 나섰다.
또 7일 국회에서 열릴 예정인 문방위 국감에서도 통신요금 이슈화가 불가피 해 보여, LGT 대응이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