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시간, TV시청 넘는다?

      스마트폰 이용시간, TV시청 넘는다?에 댓글 닫힘

대학가갤럭시스튜디오(2)셀룰러뉴스 박세환 기자 =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의 무선인터넷 이용이 작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된 원인은 게임과 동영상 시청인데, 게임의 경우 10명 중 4명은 ‘거의 매일’ 한다고 답했고, 남녀노소에 큰 차이가 없었다.

휴대폰 전문 리서치회사 마케팅인사이트(대표 김진국)가 최근 실시한 17차 조사(2013년 3~4월)에서 스마트폰 이용자(38,173명)의 무선데이터 이용 시간은 1일 평균 1시간 34분이었으며, 29%는 매일 ‘2시간 이상’ 이용한다고 답했고 ‘3시간 이상’도 17%나 됐다. 남성(1시간 26분)보다 여성(1시간 43분)의 이용시간이 길었으며, 20대는 하루 평균 ‘2시간 16분’, ‘3시간 이상’이 32%로 다른 연령대를 압도했다.

주중 기준으로 하루 평균 TV 시청시간이 2시간 23분이라는 조사결과(2013년 17차 조사의 유선상품 부문)와 비교하면 20대의 경우 스마트폰의 데이터 이용시간(2시간 16분)과 TV시청 시간 간에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을 보는 시간이 TV시청 시간을 추월할 시기가 코 앞까지 왔음을 알 수 있다.

무선데이터 이용시간과 함께 사용량에도 큰 증가가 있었다. 월 평균 1.5GB로 지난해 같은 기간(0.7GB)의 2배 이상이었다. 월 2GB 이상을 사용한 데이터 고이용자도 26%로 작년(13%)의 2배로 증가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데이터의 폭발적인 사용량 증가는 LTE폰의 확산과 더불어 동영상 시청, 게임 등을 많이 이용하게 됐기 때문이다.

마케팅인사이트에 따르면, 데이터 이용량 폭증의 주된 원인은 ‘게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5명 중 2명(41%)이 ‘거의 매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게임을 ‘이틀에 한 번(주 3~4회)’ 꼴로 즐긴다는 답(12%)까지 합하면 50%가 넘었다.

‘거의 매일’한다는 답은 남-녀간에 차이가 없고(각각 41%), 30대가 가장 많이 즐기기는 하지만(52%), 노-소에 큰 차이가 없어(50대 이상 25%, 10대 36%) 남녀노소가 모두 게임에 취해 가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중독성 큰 현란한 게임에 취해 TV를 떠나거나 TV를 보면서도 스마트폰을 놓지 않는 것이 하나의 큰 흐름이다. 스마트폰의 공세를 TV가 어떻게 대응할지 궁금하다. 큰 기대와 더 큰 우려가 함께 하고 있다고 마케팅인사이트는 내다봤다.

(Visited 44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