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에서 어디서나 대용량 유전체를 편리하게 분석하는 시대가 열린다.
KT(대표 이석채)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에서 유전체(genome) 분석을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 ‘GenomeCloud(게놈클라우드)’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유전체 연구시 약 300GB에 달하는 데이터량을 분석해야만 연구에 필요한 정확한 결과를 추출할 수 있어 IT인프라를 활용해야 한다. 하지만 IT인프라 구축 비용의 한계와 정보분석 관련 지식 습득에 제약이 있어 전문 분석 인력 및 인프라가 없는 바이오 벤처, 의료기관, 연구기관 유전체 연구의 저해요소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KT의 게놈클라우드는 IT인프라 구축 필요없이 유전체 분석에 특화된 인프라인 ‘g-Cluster’을 임대해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유전체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g-Analysis’를 활용하면 웹에서 클릭을 통해 쉽게 결과를 도출하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어 유전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된다.
KT의 ‘g-Cluster’는 클라우드 기술에 그동안 참여한 유전체 프로젝트 수행 경험 등을 접목하여 유전체 분석에 최적화한 인프라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해 유전체 분석을 할 경우 기존에 일주일 가량 걸리던 분석을 하루 정도로 단축할 수 있고, 같은 비용으로 몇배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g-Analysis’는 유전체를 분석한 데이터 양식으로 전 세계 80%를 차지하고 있는 Illumina사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다. 아울러 유전 분석 솔루션을 웹 플랫폼에 탑재했기 때문에 웹만 연결돼 있으면 어디서나 분석틀과 데이터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KT는 이번 게놈클라우드 출시를 기념, 연말까지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오픈 베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www.genome-cloud.com)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