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검색의 정확성과 단순화. 신속성을 추구하는 구글이 ‘플러스 연속 검색’을 앞세워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한다.
한국 경우, 모바일 검색 이용자의 43%가 첫 화면만 이용한다는 자체 조사결과를 앞세워 구글은 데스크톱 검색의 장점을 모바일 검색에 이식한다는 방침이다.<관련기사: 스마트폰 검색 승부처 ‘첫 화면’>
구글코리아는 1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구글 모바일 검색, 1초를 잡아라’를 앞세워 자사 모바일 검색 기술 철학과 전략,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최근 공개한 모바일 검색 기술의 일환인 ‘플러스 연속 검색’의 빠른 검색속도를 앞세워 경쟁사 대비 자사 기술 우위를 장담했다.
이날 구글코리아 이해민 프러덕트 매니저는 시연을 통해 이 기술의 장점을 집중 소개했다.
이 매니저 설명에 따르면, 가령 ‘나는 가수다 김범수 제발’을 검색할 경우 일반 검색시 30회에 가까운 타이핑을 거쳐야 하지만 ‘플러스 연속 검색’은 ‘ㄴ’과 ‘ㄱ’ 두 자음과 세번의 플러스(+) 버튼 입력으로 끝나는 식이다.

구글은 12일 소개한 '플러스 연속 검색'이 입력 최소화로 가장 빠른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아이폰의 구글 브라우저를 통한 플러스 연속 검색 시연 모습. 하단 검색결과의 오른쪽 플러스 버튼을 이용하면 된다.
이 매니저는 “구글 플러스 연속 검색은 오늘 처음 시연하는 것”이라며, “이는 이용자들이 보다 더 쉽고 빠르게 모바일 검색을 이용토록 하려는 구글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플러스 연속 검색은 현재 구글 안드로이드 OS 버전 모두는 물론, 애플 OS인 iOS에서도 구글 브라우저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갤럭시탭 등의 바탕화면에 놓인 구글검색 위젯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이날 구글 본사의 검색 품질 평가와 모바일 검색 팀을 이끌고 있는 스콧 허프만 엔지니어링 디렉터와 구글 음성 인식 연구를 이끌고 있는 마이크 슈스터 연구원이 화상을 통해 간담회에 참여했다.
허프만 디렉터는 “구글의 검색철학은 늘 ‘홀인원’하는 것으로, 모바일에서는 이 ‘홀컵’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다”며, “관련성 높은 정보를 빠른 속도와 단순함으로 전달하는 게 모바일 검색의 핵심이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음성검색과 같이 한국인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빠르고, 정확하고, 직관적인 모바일 검색 제품을 앞으로도 꾸준히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슈스터 연구원은 한국어 음성검색의 향후 정확도 개선과 관련, “시스템 검색도 형제?자매만큼 정확해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하기까지 음성인식과 함께 특히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