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 무제한?’ SKT, 발끈

      ‘반쪽 무제한?’ SKT, 발끈에 댓글 닫힘

27일 간담회를 통해 KT가 SK텔레콤을 직접 언급한 데 대해 SK텔레콤이 발끈하고 나섰다.

SK텔레콤은 같은 날, ‘KT 간담회 관련 입장’을 내놓고 “금일 KT 기자간담회에서 무선네트워크 및 요금제와 관련된 언급이 SK텔레콤 시각과 다른 부분이 있다”며 자사 입장을 전했다.

먼저 SK텔레콤은 LTE만으로 무선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할 수 없다는 KT 주장에 대해 “이는 SK텔레콤 등 경쟁사가 보유한 네트워크 및 그 운용 전략을 충분히 고려치 않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SK텔레콤은 KT가 2.1G 대역의 보유주파수 한계, 내년 하반기 2G(CDMA)망 철거 계획에 따른 잔존 2G망 가입자(약 2백만명)의 WCDMA망 전환 등으로 이동전화망만으로 데이터 트래픽 증가를 대처하기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SK텔레콤은 올 상반기 확보한 WCDMA 추가 주파수를 활용한 5FA, 6FA 추가 투자 분을 전량 데이터트래픽 수용에 활용, WCDMA망 데이터 수용 용량이 KT 대비 최소 2배 이상 달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KT가 전국 커버리지와 높은 안정성을 자랑하는 WCDMA 망이 아닌, 와이파이 등 보조망을 통해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려는 것은 이같은 이동전화 망 용량 격차 때문이라고 SKT는 강조했다.

와이브로 역시 양사가 이행계획서 수준의 투자를 집행하는 대동소이한 상황이므로, 커버리지 등에서 KT만의 차별적 우위를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게 SK텔레콤 판단이다.

또, SK텔레콤은 현재 자사 네트워크별 데이터 분산 추세가 KT와 달리 이동전화망(WCDMA, CDMA)과 기타 망(WiBro, Wi-Fi) 각각 약 60% : 40% 비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KT는 자사 3W(WCDMA?WiBro?WiFi) 네트워크별 트래픽 비율이 대략 1: 2: 7로 총 데이터 트래픽의 90%를 와이파이와 와이브로가 가져간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날 이슈가 됐던 ‘무제한 데이터’ 관련, SK텔레콤은 이를 “KT가 당사 데이터무제한 서비스를 폄하했다”고 평가했다.

SK텔레콤은 자사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가 평상시에는 사용량과 관계없이 자유롭게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 기준량을 적용, QoS를 제어하는 것은 망 부하 시에만 국한되며, QoS를 제어하는 상황에서도 웹서핑 등 서비스는 일상적인 수준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무제한으로 명명하는 데 무리가 없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SKT는 “안정적이고 이동성이 보장되며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와, 와이파이존을 찾아 다녀야 하는 방안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지는 고객들이 현명하게 판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KT 표현명 사장은?이날 간담회에서 “(SKT 서비스가) ‘무제한 데이터’라지만, VOD?MOD를 무제한 쓸 수 있느냐”며, “제한이 없어야 무제한이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내년 WiFi존 10만곳” KT ‘올인’

(Visited 36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