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발전 지름길 ‘글로벌 표준’

      웹 발전 지름길 ‘글로벌 표준’에 댓글 닫힘

국내 개발자의 75%가 ‘고립된 표준과 각종 규제’를 웹 발전의 최대 걸림돌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인터넷 발전을 위한 과제 또한 ‘웹 표준화/글로벌표준화’란 답이 가장 많았다.

구글코리아(대표 이원진)는 22일, 국내 개발자 384명을 대상으로 한 웹 개방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5%가 국내만의 고립된 표준(41%)과 정부 차원의 규제(34%)가 웹 개방성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웹 개방성에 가장 큰 걸림돌로는 고립된 표준(41%) 및 정부 차원의 각종 규제(34%)가 꼽혔다.

한국웹표준커뮤니티(Web Standards Korea , webstandards.or.kr)와 공동 조사한 이번 조사에서 또 개발자들은 웹 개방성이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의 50%가 개방성이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답했다.<출처: 구글코리아>

또한 우리나라 웹 환경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뒤처져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개발자는 13%에 불과하고, 대부분 짧게는 1~5년(57%), 길게는 5~10년(26%) 뒤져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웹 표준과 달라 가장 시급하게 고쳐야 할 것으로 74%가 액티브 X를 꼽았으며, 인터넷 결제방식(17%), 제한적 본인확인제(7%)가 뒤를 이었다.

아울러, 모바일 인터넷의 발전을 위한 해결 과제를 묻는 주관식 질문에서는 답변자 233명은 웹 표준화/글로벌 표준화(15%), 무선 인터넷망 확충(12%), 탈규제(7%)의 순서로 답했다.

한편, 웹 개방성이 주는 가치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50%)하고,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31%)할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에 도움(17%)이 된다고 응답, 웹 개방성의 유익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또한 응답자의 약 45%는 파이어폭스(20%), 크롬(12%), 사파리(11%), 오페라(1%) 등 개방형 웹 브라우저를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한다고 답해, 개방형 브라우저에 대한 개발자들의 높은 선호도를 보여줬다.

한국웹표준커뮤니티 윤석찬 팀장은 “웹 환경에서 개방성이 보장될수록 더 많은 혁신이 빠른 속도로 가능하다”며, “글로벌 표준 도입, 과도한 규제 완화 등 웹 발전의 걸림돌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자, 산업, 정부가 모두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원진 구글코리아 대표는 “모바일 인터넷이 본격화 되면서 국내 웹 환경이 많이 유연해지고 있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글로벌 표준의 도입은 국내 개발자 및 기업에게도 글로벌 무대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설문은 국내 웹 개방성의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견해를 듣고자 이달 초 HTML5 오픈 컨퍼런스에 참석한 국내 개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객관식 답변 퍼센트는 모두 해당 문항 답변자 기준으로 산출됐다.

(Visited 52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