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스마트그리드 특별법이 제정된다. 또 정부 차원의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이 확정돼 관련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정부는 이 분야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30년까지 민•관 총 27조 5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25일, 기업•학계•연구계 등이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총괄위원회(위원장 김영학 차관)’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란 정보통신기술을 적용, 전기를 보다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을 뜻한다. 현재 스마트 그리드는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
||
| ▲ 지난해 8월 31일 제주실증단지 착공식에서 상영된 스마트그리드 홍보 동영상 캡처 | ||
지경부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로드맵은 지난해 2월, 제1차 녹색성장위에서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계획’ 보고 이후, 약 200여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마련된 것으로 그간 2차례 공청회를 거쳐 의견수렴을 거친 바 있다.
이번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확정은 그동안 전력IT 기술개발, 제주 실증단지 구축 등 개별사업 중심으로 추진해 오던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를 국가 차원의 종합적 계획으로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기업에게 관련 제도개선 및 인센티브 등 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이정표를 제시하는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지경부는 기대했다.
스마트그리드 수출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중 눈길을 끄는 부분은 연내 스마트그리드 특별법을 제정한다는 계획이다.
지경부는 기업의 속도감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가칭)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올해 안 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제주 실증단지에서 검증된 제품과 기술에 대해서는 국가표준으로 제정하고, 국내 보급사업에 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지경부 김영학 차관은 “지난해가 스마트그리드의 개념과 방향을 정립하는 한 해였다면, 올해는 제주 실증단지에서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줘야 할 때”라며, 특히, 세계 최대•최첨단 규모로 조성되는 제주 실증단지를 국내 산업 활성화 및 해외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올해 11월 예정인 G20 정상회의 이전 제주도에 구축될 홍보관 경우, 국민에게는 ‘스마트그리드 체험의 장’으로, 기업에게는 자사의 제품•기술을 해외 바이어에게 홍보할 수 있는 ‘비즈니스 창출의 장’이 될 것이란 게 지경부 설명이다.
이외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은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시범도시•광역시도 등 ‘선(先)거점구축, 후(後)확산전략’에 따라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완료를 목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지능형 전력망, 소비자, 수송, 신재생, 서비스 등 5대 분야에 대한 단계별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지경부는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민•관 공동분담을 통해 ‘30년까지 총27조 5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분담액 2조 7000억원은 초기 핵심기술 개발 및 신제품 시장창출 지원, 공공인프라 구축에 지원하고, 기술개발 및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원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자발적 투자가 대부분인 민간 분담액 규모는 24조 8000억원에 달한다.
지경부는 스마트그리드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는 2030년이 되면 총 2억3천만톤의 온실가스 감축(누적치), 5만개의 일자리(연평균) 및 74조원의 내수창출(누적치)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확정된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은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홈페이지(www.smartgrid.or.kr)을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