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LiMo재단’ 만들어진다

      ‘한국판 LiMo재단’ 만들어진다에 댓글 닫힘

리눅스 기반 개방형 플랫폼 ‘리모(LiMo)’의 국내 협업을 위한 단체가 만들어진다. 협회 설립 후 리모 재단과 연계, 해외진출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지식경제부는 12일, 이동전화 사업자•단말 제조사 등과 함께 개방형 모바일 협력체계인 ‘(가칭) 한국 LiMo진흥협회(Korean LiMo Ecosystem Association)’ 창립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 조인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지경부 와 SK텔레콤, KT, LG텔레콤, 삼성전자, LG전자, ETRI 및 리모 재단(LiMo Foundation) 이사회 회원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리모(LiMo)’는 ‘리눅스 모바일(Linux Mobile)’의 약어로서 리눅스 기반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단체인 리모 재단이 개발•배포하는 개방형 플랫폼(OS+미들웨어)이다.

지경부에 따르면, 이번 업체간 협력은 최근 모바일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개방형 플랫폼 확보와 응용SW 개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 주도로 급변하는 모바일 SW시장에 본격 대응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신뢰성 있는 모바일 플랫폼 확보와 표준화를 통해 국산 SW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계기를 마련하고, 특히 국내 모바일 산업 유관 업체•기관이 그랜드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향후 리눅스 기반 모바일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란 기대다.

이날 MOU는 ▲리모 기반의 기술 협력 ▲리모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SW 생태계 구축 ▲인력양성 및 개발자 지원 ▲협력 추진 조직 구성 및 운영 등을 주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후 공식 출범할 예정인 ‘(가칭)한국LiMo진흥협회’는 리모 재단과 공동으로 해외 진출과 개발환경 지원 등을 본격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리모 재단과 연계, 국내 모바일 SW개발기업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개발 프로젝트를 발굴, 국내 리모용 SW제품 수출 지원 등 개방형 에코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또 리모 플랫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도구 보급과 기술 지원, 리모 관련 개발 정보 공유 포털 구축, 리모 전문가 워크숍과 교육 등 개발 환경도 지원한다.

특히 리모 재단은 한국 모바일 SW개발자 대상 이벤트, 워크숍 및 교육을 위한 ‘(가칭)한국LiMo진흥협회’의 활동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지경부는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도 국내 기업이 스마트폰용 개방형 SW플랫폼과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책 R&D 지원 등을 통해 관련 기반을 본격적으로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주요 지원 프로그램은 개방형 모바일 SW관련 R&D과제 발굴, IT융합프로젝트를 통한 모바일 중소SW기업 지원, 리모 관련 개발자 활동 지원, 리모 솔루션 테스트 기술과 환경 제공 등이다.

한편, 지난 ‘07년초 삼성전자, 모토로라, NEC, 파나소닉 등 4개 제조업체와 NTT도코모, 보다폰 등 2개 통신사업자가 설립한 ‘리모 재단’은 스마트폰에 필요한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SW 플랫폼의 공동개발에 나서고 있다.

회원 자격은 설립(Founder) 회원사, 핵심(Core) 회원사, 협력(Associate) 회원사로 구분된다. 지난해 12월 현재 52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 중 14개 기업이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다.

유럽 이통사인 오렌지(Orange)가 지난해 설립회원으로 합류했으며, 휴대폰 사업 부진과 함께 ‘안드로이드폰 올인’을 선언한 모토로라가 최근 리모 보드멤버에서 탈퇴했다.

국내기업으로는 삼성전자•LG전자•SK텔레콤이 이사회 멤버로, KTF•삼성SDS•이노에이스, 아로마소프트 및 ETRI가 협력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Visited 20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