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연학 가치경영실장(CFO)은 3일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우선 KT는 미래성장 비전으로 여러가지를 준비중이며, 현재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무선데이터 활성화, IPTV 활성화, 고객기업시장 개척 세가지다”고 강조했다.
김 전무는 “현재 우리나라 이통사 매출구조를 보면 무선데이터 수익은 15~20% 불과하지만, 일본만 해도 50%에 가까워 이통 분야 성장여력은 무선데이터 분야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자사 FMC 서비스 관련, “KT FMC와 경쟁사 FMS를 서로 비교하는데 양 서비스는 발상부터 다른 서비스”라고 말했다.
김 전무는 FMC 출시 기본배경이 무선데이터를 활성화하자는 것으로, 3G 출시시 2G보다 데이터량은 많고 요금은 쌌지만 데이터 ARPU가 3배 늘었다는 점을 환기시켰다.
무선랜 지역에서 무제한 사용할 경우, 채산성이 떨어질 것으로 생각하겠지만, 제한된 무선랜 지역에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면 이동중 와이브로나 WCDMA 이용시 네트워크 수익이 훨씬 늘 것이라고 김 전무는 설명했다.
김 전무는 “이용량은 10배, 20배 주고 매출을 10%, 20% 늘리겠다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반면, 김 전무는 경쟁사 FMS 서비스 경우, 2000원을 더 내고 한정된 기지국내 지역에서만 음성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무선데이터 증가에는 아무런 실효가 없는 서비스라고 밝혔다
FMC는 와이파이 지역에서 유효 IP를 이용해, 가입 고객 누구나 저렴한 음성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경쟁사 서비스 경우 2000원 추가로 내고 특정 셀 내 음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월 50분 이상 이용해야 본전이 되는 것으로 기본적 어프로치가 다르다는 게 김 전무 설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