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미래 10년 ‘개인고객 의존 탈피’

      SKT 미래 10년 ‘개인고객 의존 탈피’에 댓글 닫힘

SK텔레콤은 29일 본사에서 가진 정만원 CEO 기자간담회를 통해 통신시장의 성장정체를 돌파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IPE(산업 생산성 증대) 전략을 공개했다. 정 사장은 “2020년 IPE 매출 목표 20조를 달성하고 해외 매출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려 명실상부한 ‘글로벌 ICT리더’가 되겠다”고 밝혔다.

IPE전략은 SK텔레콤의 미래성장 핵심카드라고 밝힌 정 사장은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성장정체가 일방적인 개인고객 의존 구조 때문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법인•산업•공공부문을 상대로 산업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높이는 IPE사업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SK텔레콤이 추구하는 IPE사업은 금융, 유통 등의 비즈니스 영역으로 진출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해당 산업의 플레이어들이 사업을 더욱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윈윈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의 센싱(RFID, NFC등), 네트워킹(4G, 와이파이, Zigbee 등) 기술을 활용해 산업전반의 신경계 역할을 함으로써 타 산업의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근력을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파트너들의 생산성 증대를 이루겠다는 것이다.

   
▲ SK텔레콤이 29일 밝힌 IPE전략은 개인고객 의존도를 탈피, 타산업 생산력 증대를 도움으로써 성장 돌파구를 찾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정만원 사장은 이날 가입자나 점유율 경쟁으로는 더이상 글로벌 ICT 리딩기업이 될 수 없다며 KT 협조(!)를 당부했다.

정 사장은 이미 전담조직인 기업사업단을 지난 6월 신설했고 유통•물류•금융•교육•헬스케어(Healthcare),•제조(자동차)•주택/건설,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 중소기업) 분야를 8대 핵심 사업 아이템으로 선정해 관련 사업 모델을 적극 발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정 사장은IPE 추진을 위해서는 기술 리더십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ICT관련 핵심 기술 역량을 내재화하고 첨단 기술을 가진 국내외 기업과의 연구개발(R&D)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또한 IPE 기반기술 확보를 위해 지난 4월 밝힌 ▲차세대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혁신적 UI 기술 ▲비즈 앤 오픈 플랫폼(Biz. & Open Platform) 기술 ▲스마트 테크놀로지(Smart Technology) ▲이종산업간 융합기술의 5대 기술 핵심과제(5nGINE)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 사장은 “SK텔레콤 노력만으로 IPE 사업의 성공을 기약할 수 없고 다양한 Biz. 파트너, 언론, 정부 등의 관심과 건전한 경쟁을 통해서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며, “모든 이해관계자의 애정 어린 충고와 관심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Visited 21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