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T, “멀티모드 기지국 본격 구축”

      LGT, “멀티모드 기지국 본격 구축”에 댓글 닫힘

LG텔레콤이 2G•3G는 물론, 4G 이동통신 서비스 장비까지 한대의 기지국에 수용, 4G로 신속한 진화가 가능한 멀티모드 기지국 구축을 본격화 한다.

LG텔레콤(대표 정일재 www.lgtelecom.com)은 28일부터 인천•강원 지역에 멀티모드 기지국 구축을 시작해 올해 500여개, 내년 1500여개 등 모두 2000개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LG텔레콤에 따르면, LG노텔•삼성전자와 공동 개발한 멀티모드 기지국은 컴퓨터에서 주변장치 확장보드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슬롯구조로 현재 2G•3G 장비와 향후 4G 장비 추가 삽입시 4G로 신속한 네트워크 진화가 가능하다.

한대의 기지국 장비로 음성(1x) 및 데이터(EVDO) 장비와 향후 개발될 4G 장비를 함께 수용하고, 전송장비를 정류기에 합쳐 장비 숫자를 절반으로 줄였다.

이에 따라 시간당 평균 소모전력이 대당 7.16kW인 기존 기지국에 비해 멀티모드 기지국의 경우, 커버지역이 동일하면서도 소모전력은 3.22kW에 불과해 전력사용량이 55%가량 줄어든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 출처: LG텔레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감소하게 돼 멀티모드 기지국 1개당 연간 15톤 가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내년까지 계획된 2천개의 멀티모드 기지국 설치가 완료되면 연간 약 2만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G텔레콤 N/W전략 담당 권준혁 상무는 “전력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는 멀티모드 방식의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는 그린IT 활성화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텔레콤은 지난 7월부터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등 3개 지역에서 멀티모드 기지국 사전 시험을 진행했다.

아울러 전국의 신규 아파트 등 주택단지 건설지역 및 통화량 증가로 추가 기지국이 필요한 지역 등에 집중 설치돼 고객 체감 통화품질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Visited 1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