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출시, 11월 이후엔 가능?

      아이폰 출시, 11월 이후엔 가능?에 댓글 닫힘

국내 아이폰 출시가 11월 이후로 미뤄질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하반기 위치정보 사업자 선정이 11월 중순경 가능할 것이라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애플은 국내에서 직접 위치정보 사업자로 허가를 받는다는 입장이다.

16일 방송통신위원회는 ’09년도 하반기 위치정보사업 허가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8일까지 허가를 신청하는 사업자에 대해 심사를 추진하고 11월 중 사업자를 선정키로 했다.

위치정보 사업자 허가는 통상적으로 신청 접수 후 임원 등에 대한 결격여부 확인, 심사위원단 구성 및 심사, 방통위 의결 등을 거치게 된다. 이를 감안, 11월 중으로 허가사업자가 선정돼 허가서가 교부될 것으로 방통위는 내다봤다.

위치정보사업을 희망하는 사업자는 신청에 필요한 제반 서류를 갖춰 방통위 개인정보보호윤리과(02-750-2772)로 제출하면 된다.

   
▲ 방통위가 이달 28일까지 신청을 받고, 11월 중 위치정보사업자를 선정키로 했다. 이번엔 ‘아이폰 속앓이’가 끝날 수 있을까.

방통위 방침이 전해지면서 당장 국내 아이폰 도입이 예정된 애플의 신청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미 애플은 국내 법률 대리인인 세종법인을 통해 국내 위치정보 사업자 허가를 받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상태다.

아이폰 도입여부가 논란이 되면서 방통위는 지난달, 애플이 직접 위치정보 사업가 허가를 받지 않아도 아이폰을 국내 출시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바 있다. 당시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특혜’라는 지적도 없지 않았다.

애플이 직접 사업자 허가를 받기로 입자을 굳힌 것은 이러한 특혜 논란에 대한 부담과 함께 직접 국내에서도 위치정보 서비스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가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다. 위치기반 서비스(LBS)가 단순 ‘길•사람찾기’에서 벗어나 킬러 서비스로 떠오르는 데 대한 적극 대응 차원이라는 것이다.

현재 애플은 애플코리아 명의로 방통위의 허가 절차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법인 세종이 이를 대행하고 있다고 전해졌을 뿐, 이에 대한 애플측 공식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결국 방통위 일정을 감안하면, 빨라도 11월 이후에나 국내 아이폰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일부에서는 방통위가 연내 아이폰 출시를 위해 허가 일정을 앞당길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한편, 전파연구소 개인 인증을 거친 국내 아이폰 이용자 수는 지난 14일 현재 1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구입 아이폰 등을 국내 이용하기 위한 전파연구소 인증에는 약 40만원 정도(단말가격 제외)가 드는 것으로 전해졌다.

(Visited 20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