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50㎑이하 RFID 기준값이 미국•유럽 수준으로 상향 조정된다. 이를 통해 인식거리가 확장돼 다양한 용도의 RFID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9일 전체회의를 열고, 150㎑이하 RFID의 인식거리 확장 등을 위해 출력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일부 기술기준 미비점 보완사항에 대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도난방지 태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150kHz 이하 RFID는 허가 신고 없이 사용 가능한 미약전파기기로 마트 도난 방지시스템, 마라톤 선수 추적, 동물관리 등의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출력 기준값은 102.7로 미국 152, 유럽 151 기준값보다 낮아 그동안 다양한 용도 활용에 어려움이 지적됐다.
이번 출력 기준값 샹향 조정으로 인식거리는 기존 대비 3~4배 늘어나 3~5m로 확대될 전망이다. 방통위에 따르면, “지금은 갖다대야 하지만, 이제는 지나가면서 할 수 있게 된다”는 것.
한편, 이날 형태근 상임위원은 RFID 출력기준 상향과 관련, “우리는 센서네트워크 등에서 많은 발전을 이뤄왔는데 이것이 분해되서 각 부서입장세ㅓ 연관된 의미를 찾지 못하고 있다”며, “중심점은 주파수인데, 단발적인 계획에 머물지 말고 RFID 주파수를 가지고 먹거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부처간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해야 한다”는 게 형 위원 요구다.
(Visited 30 times, 1 visits to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