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폭된 아이폰 출시 논란과 관련, 인터넷기업협회가 도입 찬성 입장을 공식화했다. 경쟁 환경을 촉진해 무선인터넷 산업 활성화 및 이용자 선택권 확대가 가능할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회장 허진호)는 최근 보도되고 있는 애플의 ‘아이폰’ 국내 출시 여부와 관련, “경쟁적인 시장환경 조성을 위해 도입을 희망한다”고 27일 입장을 내놓았다.
인기협은 먼저 “‘아이폰’ 등 혁신적인 단말기 및 서비스를 도입해 경쟁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인기협은 미국에서는 아이폰 출시가 업계의 단말기 및 서비스 개발 경쟁을 촉진, 무선인터넷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며, 국내에서도 경쟁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경우, 다양한 사업자의 참여와 기술혁신을 통해 무선인터넷 산업이 활성화되고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인기협은 또 국내 이용자의 선택권 및 무선인터넷 경험 확대를 위해서도 ‘아이폰’ 등 다양한 단말기가 도입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미 세계 많은 국가의 이용자들이 아이폰을 이용하고 있으며, 앱스토어를 통해서 수 만개의 애플리케이션이 공급되고 있다. 인기협은 이에 따라 아이폰이 국내에 출시될 경우, 국내 이용자 선택의 폭이 크게 넓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새로운 무선 인터넷 경험으로 국내 이용자의 눈높이가 상승, 국내 사업자의 서비스 개발 노력도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기협 허진호 회장은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폰 앱스토어 체계가 국내의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폭넓은 기회를 열어 줄 것이다”며, “더 나아가 새로운 아이디어, 창업, 기술 개발, 고용 창출, 해외 진출 등의 파급 효과(ripple effect)로 이어지게 할 것이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하루 빨리 국내에도 아이폰이 출시돼 국내 이용자들이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고, 이를 통해 국내 무선 인터넷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국내 아이폰 출시는 오래된 논란에도 불구, GPS 등 다양한 이슈로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이 때문에 도입 찬성 여부와 무관하게 ‘디지털 사대주의’란 비판이 점차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확산되는 추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