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3D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 수립’ 출범식을 갖고 관련 기술개발 본격화에 나선다고 밝혔3다.
전략기술 로드맵은 지난 4월 제5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의결된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관계부처 합동)’의 후속조치로, 올해 10월까지 로드맵 최종(안)을 마련하고,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부처간 역할분담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현재 3D프린팅 산업은 핵심 원천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선도 기업이 전체시장을 주도 중인 상황으로 글로벌 선도 장비업체는 자사 전용소재만 사용하도록 소재인식기술을 도입했다.
국내는 일부기업이 독자기술을 보유 중임에도 불구, 여전히 글로벌 선도기업 대비 기술경쟁력이 취약한 상황이며, 관련 연구개발도 대학, 연구소 등에서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국내 3D프린팅산업 발전의 토대를 이룰 기술역량 확보를 위해 종합적 관점으로 기초·원천연구에서 사업화까지 전주기를 포괄한 전략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상기술 선정, 로드맵 수립 방향 등 주요사항을 결정하는 총괄위원회를 두고,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 응용 4개 분과를 구성했다. 공동위원장은 윤의준 MD(R&D 전략기획단), 김영명 총괄 CP(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이 맡았다.
각 분과별 위원은 전문가 추천을 통해 3D프린팅 기술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대학·연구원 및 자동차, 의료, 전자 등 핵심 활용 수요기업을 포괄하여 선정했다고 미래부 등은 설명했다.
로드맵 수립 방향은 3D프린팅 기술수요, 환경변화 전망 등을 조사·분석해 향후 10년간의 단계별 기술확보 전략을 제시하게 된다. 초기 5년은 자동차, 의료, 전자 등 수요산업과 연계한 구체적 로드맵 전략을 마련하고, 후반기 5년에는 미래수요 예측을 통한 방향성 제시 수준으로 작성할 계획이다.
또 특허청 ‘IP-R&D 전략 지원 사업’ 등과 연계해 기술 확보전략 수립도 추진된다.
이는 부처의견 수렴 및 공청회 등을 거쳐 초안 마련 후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에서 최종 심의해 10월경 발표할 예정이다.
산업부 이관섭 산업정책실장은 “3D프린팅산업은 제조혁신을 일으킬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국내 강점인 ICT와 융합을 통해 창조경제 활성화에 한 축을 이룰 것”이라며 “산학연관 각계각층의 지성을 모은 기술로드맵 수립을 통해 3D프린팅 선진국 진입에 도약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