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까지 전국에 기가인터넷망 깐다

      ’17년까지 전국에 기가인터넷망 깐다에 댓글 닫힘

미래창조과학부-로고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현재의 인터넷보다 최대 10배 빠른 기가인터넷망 전국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부터 기가인터넷 시범사업을 확대해 ’17년까지 전국 90%에 기가인터넷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기가(Giga)인터넷 서비스란 현재의 100Mbps급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최대 1Gbps 인터넷 서비스로서 고품질·대용량의 초고화질 영상이나 무안경 3D영상을 가정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가정 내 스마트 기기들간의 무선 데이터 공유도 기가급 속도로 높일 수 있어 인터넷 서비스가 한 차원 높아진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6일 13년도 ‘기가인터넷 시범사업’ 사업자로 KT 컨소시엄, SK브로드밴드 컨소시엄, LG유플러스 컨소시엄, CJ헬로비전 컨소시엄, 티브로드 컨소시엄 등 5개 사업자를 선정·협약체결을 마쳤다.

올해 기가인터넷 시범사업은 기존 17개시 지역 이외 신규 10개시를 추가해 약 1만8000여 가구(‘12년말 12,000여 가구 이용 중)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해말 기준 기가인터넷 시범서비스 제공 지역은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세종시, 수원시, 부천시, 용인시, 파주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여수시, 창원시, 김해시 등 17개 시 지역이다. 시 지역별 기가인터넷 시범망 구축규모 및 제공 범위는 상이하다.

아울러, 기가인터넷 서비스 활용을 높이기 위해 ▲실감형 초고화질(UHD) IPTV 홈씨네마 ▲UHD 무안경 3D 디지털 사이니지 ▲벤처기업용 테라 클라우드 서비스 ▲유·무선 기가 홈 콘텐츠 공유 ▲ 실시간 풀(Full)HD 의료상담 서비스 등 응용 서비스를 발굴한다. 이를 위해 정부 33억원 등 총 103억원(민간 현금?현물 포함)이 투입된다.

미래부는 상반기 내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가칭)‘기가인터넷 활성화 추진단’을 구성해 기가인터넷 상용화 및 혁신적인 서비스 발굴에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기가급 와이파이(802.11ac 기술을 활용해 최대 1.3Gbps 속도 제공) 연동, 차세대 케이블모뎀 기술(DOCSIS 3.0), 10기가 광가입자망 기술(10G-EPON) 등 기가인터넷 주요기술을 시험·검증해 ’17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 생태계 조성에 힘쓸 계획이다.

(Visited 43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