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분실보험 만족 ‘38%’

      휴대폰 분실보험 만족 ‘38%’에 댓글 닫힘

휴대폰 분실보험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휴대폰 분실·도난·파손에 따른 손해를 경감하기 위해 가입한 보험에 대해 실제 보상 경험자들의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보험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보험 보상 절차나 기준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휴대폰 전문 리서치회사인 마케팅인사이트(대표 김진국)가 스마트폰 이용자 27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폰 보험 현황’ 조사에서 30%가 현재 보험에 가입해 있고, 5%는 지난 1년 간 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상 경험자 가운데는 ‘파손’에 따른 보상이 61%로 ‘분실·도난’으로 인한 경우(39%)보다 많았으며, 보상 경험자들의 38%만이 보상서비스에 만족한다고 답해 개선의 여지가 커 보인다.

보상에 대한 만족률은 ‘분실·도난’ 경험자들이 특히 낮아, 2명 중 한 명 꼴인 48%가 보상에 불만이라고 답했다. ‘파손’돼 보상을 받은 경험자들의 21%가 불만족을 표했던 것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는 스마트폰 ‘분실·도난’의 경우 ‘파손’됐을 때보다 본인 부담금도 많고, 개인 정보 손실로 인한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응답자들은 스마트폰 보험에 불만족한 이유를 ▲본인 부담금이 너무 많고(60%), ▲보상 신청 및 처리절차가 복잡해서(55%), ▲보상 기준이 까다로워서(26%), ▲매달 납입해야 하는 보험료가 부담스러워서(24%), ▲보상 기준에 대한 안내가 부족해서(19%) 등을 꼽았다. 현재 스마트폰 보험은 월 보험료가 2000원~5000원이고, 보상을 받더라도 본인 부담금이 많게는 10만원을 넘는다.

현재 스마트폰 보험 가입률을 통신사별로 보면 KT 이용자가 4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LG유플러스(35%), SK텔레콤(21%)의 순이다.

한편, 이번조사는 지난 9월 13일부터 10월 10일까지 온라인우편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Visited 97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