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기간통신사 편애 ‘알뜰폰 ’고사

      방통위, 기간통신사 편애 ‘알뜰폰 ’고사에 댓글 닫힘

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요금 인하 정책의 일환으로 MVNO(알뜰폰) 시장을 활성화(2012.3.29)시켜 자율경쟁을 유도하려 했으나 현재 상황으로 보아 정책 실패가 예견됨으로 긴요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MVNO 가입자가 100만명에 이르렀지만 아직 이동통신 3사의 전체 시장점유율(5250만명,11년말기준)에 비하면 2%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부실과 대기업 통신사의 이기적인 행태로 인해 MVNO활성화 정책 실패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 됐다.

출처: 방통위 자료제출 재구성

국회 새누리당 김희정 의원(부산 연제구)은 국회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현장에서 MVNO업계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13가지 개선 사항 중 방통위가 긍정적으로 검토한 것은 불과 4가지에 불과했다며 방통위의 MVNO활성화 정책이 업계와 괴리가 크다고 밝혔다.

김희정 의원은 “통신 시장 육성을 위해 초창기에 정부가 통신사에 대폭 정책적 지원을 해주었듯이 MVNO활성화를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며“MVNO가 국민들의 통신요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된만큼, 시장에서 크지 못하면 그때 되서야 새 지원정책을 세우는 방식이 아니라 우선 지원 정책을 시행 후에 문제가 생기면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끄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고 전향적으로 정책 검토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SKT 자회사인 SK텔링크가 MVNO시장에 진입하면서 공정경쟁과 형평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공생발전을 내세워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여러 업종에 대기업들의 진출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통위가 이에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김의원은 “방통위가 SK텔링크의 MVNO집입을 허용하면서 공정경쟁 관련 4가지 등록조건을 부과했지만 조건을 엄수하는지 방통위가 점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단적인 예로 방통위는 SK텔링크가 모기업인 SKT의 직원, 유통망을 이용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1만9000여개 넘는 SKT 판매점 및 대리점을 관리·감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덧붙였다.

김의원은 “실제 해외 사례를 보아도 MVNO 성공사례로 들고 있는 TracFone Wireless, Virgin Mobile, Tesco Mobile 등은 모두 자회사 또는 JV 형태의 MVNO이며, 미국의 경우 현재까지 102개 MVNO 사업자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40%(41개)는 현재 파산 또는 매각 됐는데 특히, 파산 또는 인수합병 된 MVNO의 경우 대다수가 Mobile ESPN, Amp’d Mobile, Disney Mobile과 같은 독립계 MVNO였다는 점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의원은 MVNO요금제를 보다 더 싼 가격에 공급할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신사들이 도매대가 산정을 하면서 통신소매요금 중 마케팅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과 서비스생산비용은 고스란히 보존한채 할인율을 책정했다면서 통신사들이 받을거 다 받고 있는 상황에서 알뜰폰의 경쟁력 확보는 어렵다며 개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Visited 35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