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11년 11월 11부터 20까지 10일간 만12-59세 스마트폰 이용자 4,000명을 대상으로 ‘제4차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조사항목은 스마트폰 이용현황, 스마트폰을 통한 인스턴트 메세지 이용현황,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쇼핑 및 뱅킹 이용현황, 스마트패드 이용행태 등이다.
우선 스마트폰 이용현황 조사에 따르면, 조사시점에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36.7%가 6개월 미만의 신규 사용자로 조사됐다. 이중 20.4%는 3~6개월 사용자로 나타났다고 한다.
신규 스마트폰 이용자는 여성이52.6%로 남성에 비해 근소한 차이로 앞섰으며, 현재까지 스마트폰을 1대 이용한 응답자가 82%로 나타났으며, 2대는 14.1% 그 이상은 3.9%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열풍이분 시점이 햇수로 약 4년이 되는 시점이며, 통신사 약정 최대 기간이 2년이라는 점으로 볼 때 2대 이상의 사용자가 많을 것 같다는 예상을 벗어난 결과이다.
스마트폰 이용자 특성 및 이용계기
스마트폰 이용자의 66.3%는 ‘다양한 앱을 사용하고 싶다’를 계기로 뽑았다. 그만큼 모바일 웹과 다양한 앱의 등장으로 웹에서 앱으로 전환된 생태계를 반증하는 결과다.
이 수치는2차(2011.1월) 60.5%, 3차(2011.7월) 64.3%, 4차 66.3%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수시로 인터넷을 하고 싶다’는 의견도 53.8% 였으며, ‘새로운 서비스와 기슬을 체험해 보고싶다’는 의견도 37.4%를, ‘고성능 단말기를 갖고싶다’는 34.2%로 나타냈다.
스마트폰 사용후..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느끼는 응답자가 76.4%로 가장 높았으며, 타인과의 정보 공유가 원활해졌다는 응답자도 69.5%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1개월 내에 모바일 인터넷에 접속해 사용한적이 있다고 답 했으며, 하루에 한번 이상 이용한다는 응답자는 87.1%로 나타났으며, 일 평균 이용시간은 1.5시간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접속방법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경로는 모바일 페이지를 이용한 접속이 61.7%, 모바일 앱을 통한 접속이 28%, 일반 웹사이트를 통한 접속이 10.3%로 나타났다.
통신 접속망은 3G를 이용한 사용자가 55.8%로, Wi-Fi접속자가 43.6%, Wibro는 0.3%, LTE는 0.2%로 조사됐다.
또한 최근 1개월 이내 모바일앱을 다운로드 받은 경험이 있는 스마트폰 이용자는 77.4%로 1차 조사(2010.7월, 66.0%) 대비 11% 상승했다.
또한, 주 평균 다운로드 모바일앱 개수는 3차 조사와 동일한 6개인 반면, 무료 모바일앱은 0.9개 증가한 5.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다운로드 받는 모바일앱은 ‘게임?오락(78.6%)’, ‘커뮤니케이션(53.5%)’, ‘유틸리티(50.5%)’ 등이었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현황
스마트폰 이용자의 79.2%가 스마트폰을 통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후 스마트폰 문자메시지 이용량이 감소’한 경우는 68.1%로, 이는 3차 조사(2011.7월, 41.0%) 대비 27.1%p가 증가한 것이다.
모바일쇼핑 및 뱅킹 이용 현황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쇼핑 경험자는 제3차 조사(‘11.7월, 16.9%)대비 30.1%p 증가한 47.0%이며, 스마트폰뱅킹 경험자도 47.9%인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을 통한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 광고 이용 현황
스마트폰 광고 유형 중 ‘배너광고(62.1%)’를 가장 많이 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차 조사(‘11.1월, 42.2%) 대비 약 20%p 증가한 것이다. 특히, 업종 중에서는 ‘엔터테인먼트(45.4%)’, 의류/잡화(42.1%), 금융(30.8%) 순으로 광고를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패드 이용 현황
스마트폰 이용자의 15.0%가 스마트패드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이용 활동을 비교한 결과, 스마트패드를 통해서는 ‘동영상 보기’(49.1%)나 ‘전자책?잡지 읽기(47.9%)’, ‘문서 작성?편집(45.4%)’ 등을 하는 반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64.7%)’ 또는 ‘뉴스?날씨 검색(60.8%)’, ‘음악 듣기(55.5%)’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는 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 현황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은 전화 기능보다 ‘무선인터넷 및 모바일앱(49.7%)’에 집중돼 있는 반면, 성인 이용자는 ‘음성?영상통화(40.3%)’와 ‘무선인터넷 및 모바일앱(41.9%)’을 유사한 수준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주로 ‘알람?시계(89.3%)’ 또는 ‘달력, 일정관리(79.6%)’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과 달리,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자는 ‘음악 듣기 또는 다운로드(85.7%)’나 ‘게임?오락(85.7%)’ 등 여가활동을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아울러, 방통위는 2012년에도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를 반기별로 실시해 스마트시대의 대표 기기인 스마트폰의 이용 환경 및 행태를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계속 제공할 계획이며, 2011년 하반기, 제4차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전문은 www.smac.kr, 앱센터. 한국, 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