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 스마트폰 보안기술 배포

      KISA , 스마트폰 보안기술 배포에 댓글 닫힘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스마트폰에서 저장?전송되는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국산암호 라이브러리와 앱을 개발?보급한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폰용 국산암호 라이브러리는 국산 암호기술을 스마트폰에 최적화해 문서관리, 사진 및 동영상 관리, 모바일 결제 앱 등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KISA에 따르면, 국산암호 라이브러리는 PC를 기반으로 개발된 국외 공개 암호라이브러리를 스마트폰에 설치해 사용하는 것과 비교, 최대 60% 가량의 암호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대부분의 공개 암호 라이브러리는 PC기반으로 개발돼 연산속도 저하 및 전력소모 등의 이유로 스마트폰과 같은 경량 디바이스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는 게 KISA측 설명이다.

파일암호화 앱 안드로이드용 사용법 일부<출처: seed.kisa.or.kr>

방통위와 KISA는 국산 암호 라이브러리를 홈페이지(seed.kisa.or.kr)를 통해 앱 개발자에게 무료로 배포하고, 이동통신 3사 앱 개발자 사이트를 통해서도 안내할 예정이다.

앱 개발자들은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위치정보, 고객정보, 금융정보 등과 같은 민감한 정보를 암호화해 안전하게 저장?전송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할 수 있다.

방통위와 KISA가 추진하는 암호이용활성화 사업은 ‘99년 국내 최초로 국산암호인 SEED의 개발 및 보급으로 시작됐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방통위와 KISA는 최근 HIGHT 암호기술을 개발, 2010년 ISO/IEC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게 했다.

아울러 암호기술 최적화 소스코드, 암호기술 이용안내서 등을 무료로 보급하며 금융, 무선통신을 비롯한 정보보호 제품/서비스 이용시 국산 암호기술을 손쉽게 사용 가능토록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방통위와 KISA는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중요 파일을 암?복호화 할 수 있는 앱(‘Secure File Manager’)과 게임을 통해 평소 이용하는 패스워드의 보안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앱(‘Smart Password Checker’) 2종을 함께 개발해 보급한다고 덧붙였다.

스마트폰용 앱 2종은 안드로이드폰, 아이폰, 윈도 모바일용으로 개발돼, SKT T스토어, KT 올레마켓, LG 오즈스토어,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다.

서종렬 KISA 원장은 “신규 IT 융복합 서비스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국산암호 응용기술을 개발, 보급해 이에 대응하는 일은 안전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국산암호 활성화를 위해서도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KISA는 인터넷, 정보보호 전문기관으로서 안전한 스마트폰 이용 환경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Visited 82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