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와이파이존 ‘함께 쓸까?’

      한?중?일 와이파이존 ‘함께 쓸까?’에 댓글 닫힘

KT가 차이나모바일, NTT도코모와 협력해 동북아 스마트벨트(Smart Belt) 구축에 나선다. 이들 3국의 3사는 특히 와이파이존 공동 이용 및 차세대 스마트폰 공동개발 등 협력을 보다 구체화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KT(대표 이석채 www.kt.com)는 중국의 차이나모바일, 일본의 NTT도코모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차별화된 고객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키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
이를 위해 3사는 18일 오후 중국 베이징시 차이나모바일 그룹 본사에서 3사 전략적 협력을 위한 협정서(SCFA: Strateg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차이나모바일 왕 젠저우(王建宙, Wang Jianzhou) 회장, 루 샹동(?向?, Lu Xiangdong) 부총재와 NTT도코모 야마다 류지(山田 隆持, Yamada Ryuuji) 사장, 스즈키 마사토시(?木 正俊, Suzuki Masatoshi) 부사장, KT 이석채 회장, 개인고객부문 표현명 사장, 글로벌사업본부 김한석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KT와 차이나모바일, NTT도코모는 18일 중국 베이징시 차이나모바일 본사에서 전략적 협정을 맺고 로밍, 앱스토어,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키로 했다. 왼쪽부터 야마다 류지 NTT도코모 사장, 왕 젠저우 차이나모바일 회장, 이석채 KT 회장

3사간 전략적 협정은 지난해 11월 10일 체결한 KT-차이나모바일과의 전략적 제휴 관계를 확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3사가 협력할 수 있다는 공동 인식에서 출발했다는 것이 KT측 설명이다.<관련기사: KT, 차이나모바일 제휴 “협력 강화”>

향후 분야별 실무 운영체(Working Group)를 통해 협력분야의 확대와 신규 서비스 공동 개발에 나서게 된다.

3사의 사업협력 분야는 ▲한?중?일 음성/데이터(3G/WiFi) 로밍 ▲TD/FDD LTE 공동 연구 ▲앱/콘텐츠 분야 협력 ▲스마트폰 공동 개발 ▲플랫폼(WAC, NFC) 기술 협력 ▲3국 다국적 기업대상 서비스 제공 등이다.
?
먼저 KT는 3사간 와이파이존 공동 이용 등을 포함하는 ‘동북아 FRA(Free Roaming Area, 자유로밍지대) 구축’에 협력하자는 제안을 했다고 밝혔다. 이 경우, 고객이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존은 약 10만 곳으로 확대된다는 것이 KT 설명이다. 2010년 3사 로밍 고객은 약 280만명 수준이다.

또한, KT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인 ‘스텔스(Stealth) 와이파이’ 솔루션도 차이나모바일과 NTT도코모에 제안했다.

KT에 따르면, 이는 기존 모바일 인빌딩 인프라(급전선, 안테나)를 이용한 와이파이 설치 방법으로 모바일 사업자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설치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
이와 함께 KT는 고객의 로밍요금 부담을 낮춘 한?중?일 3국간 무제한 데이터 로밍 상품을 3월 경 출시, 데이터 뿐 아니라 음성에서도 상호간 로밍요율 조정을 추진키로 했다.
?
아울러 3사는 ‘올레마켓’ 등 각 사 오픈 콘텐츠 마켓을 연동, 아시아 앱스토어를 구축키로 하고 이를 ‘OASIS(One Asia Super Inter-Store)란 이름으로 제안했다. 아시아 문화권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가 생산되는 열린 장터를 만들어 약 6억 5천 만명의 고객이 이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기존 KT와 SK텔레콤도 이사회 멤버로 참여중인 글로벌 오픈 앱 생태계 구축을 위한 WAC(Wholesale App. Community, 도매 애플리케이션 연합체)의 일환이 될 것이라고 KT는 설명했다.

KT와 NTT도코모는 이미 지난해 애플리케이션 교류 테스트를 완료해 일본의 ‘손가락으로 통하는 영어/일본어/중국어/태국어’ 등 회화 애플리케이션을 KT 고객이 이용할 수 있고, 한국의 ‘SOM(Secure On Mobile)’ 앱을 이용해 NTT도코모 고객은 분실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협력 방침에 따라 또한 올 2월까지는 KT 올레마켓의 앱을 차이나모바일 콘텐츠 마켓에 선보여 테스트하는 등 기술, 사업적 협력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태다.
?
또한 3사는 모바일결제 사업활성화를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통일, 인프라 구축 및 공동서비스 개발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3사는 새로운 형태의 컨버전스 스마트폰 공동 기획 및 개발에도 나선다.

공동 개발되는 차세대 스마트폰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논의 중이며, 관련 서비스 플랫폼의 공동 기획 및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KT는 덧붙였다.

KT 관계자는 이에 대해 “스마트폰 공동개발 일정 및 개발 형태 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화된 것이 없는 상태”라며, “3사간 이제 협의를 해나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외에도 3사는 차세대 모바일인터넷 기술인 LTE 분야에서도 공동 기술 연구, 기술 표준화 협력, 단말 개발 등에서 협력키로 했다.
?
KT는 이번 전략협정을 통해 고객은 한중일 3국에서 끊김없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사업자는 새로운 수익을 창출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수준의 글로벌 기업이 되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석채 KT 회장은 “이번 체결은 고객에게는 보다 큰 혜택을, 통신사업자에게는 무한한 경쟁력을 약속하는 것”이라며, “장기적 관점의 협력뿐 아니라 빠른 시일 내 단기 협력 프로젝트의 성공사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Visited 41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