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LTE 잰걸음 ‘기지국 확대’

      LG U+ LTE 잰걸음 ‘기지국 확대’에 댓글 닫힘

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 www.lguplus.com)는 21일, 유지?보수가 쉽고 임대비용 및 전력료를 절감할 수 있는 ‘뱅크(Bank) 기지국’ 구축에 22일부터 나선다고 밝혔다.

이 기지국은 LG유플러스가 LG에릭슨?삼성전자와 공동개발 한 것으로, 향후 4G 네트워크 구축 시 추가 모듈 탑재만으로 LTE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기존의 기지국은 무선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는 RF(Radio Frequency)부와 호처리, 자원 관리 등 기지국의 콘트롤 역할을 하는 DU(Digital Unit)부로 구성된다. 보통 1개의 기지국에 1개의 DU부와 1개의 RF부가 연결되는 구조다.
?
반면 이번 뱅크 기지국은 기지국을 구성하고 있는 RF부와 DU부 중 여러 개의 DU부를 하나의 기지국사에 모아 놓을 수 있어 1개의 기지국사에 최대 4개의 RF부를 연결 할 수 있다.

출처: LG유플러스

최대 4개의 DU부를 한곳의 기지국사에 설치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설치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임대비용 및 전력료가 절감된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
또한 2G/3G는 기본이고 향후 4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구축 시 LTE 모듈을 추가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보해 4G로의 신속한 진화가 용이하도록 설계한 것도 특징이다.
?
회사측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서울 지역에서 뱅크기지국 사전 성능시험을 진행했으며, 시범서비스가 순조롭게 진행돼 계획대로 22일부터 뱅크 기지국 본격 구축에 나서게 됐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서울과 주요 광역시 중심으로 뱅크 기지국 구축을 시작해 전국의 주요 도시로 확대, 내년 2월까지 250여 개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

LG유플러스가 유지/보수가 쉽고 임대비용 및 전력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향후 추가 모듈 탑재만으로 LTE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뱅크(Bank) 기지국 구축에 나선다. LG유플러스 N/W 담당 직원이 뱅크 기지국 장비 성능 점검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NW기획담당 권준혁 상무는 “임대료가 높은 장소의 기존 기지국을 뱅크 기지국으로 대체 설치하면 OPEX가 최대 연간 70%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향후 4G 진화 시 효율적이고 신속한 투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Visited 101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