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당초 계획을 50일 이상 앞당겨 최근 모두 4만 곳이 넘는 와이파이존을 구축했다. 사업자로는 세계 최다이며, 이를 토대로 와이파이 보유국가로는 세계 3위 꼴이라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KT(대표 이석채 www.kt.com)는 올해 말까지 구축키로 했던 ‘4만 곳의 올레 와이파이존(olleh WiFi Zone)’을 50일 이상 앞당겨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올해 초 1만 3000여 곳이었던 와이파이존은 지난 4일 현재, 10개월 만에 3배가 넘는 4만 235곳으로 확대 구축됐으며, 이로써 KT는 세계 최다 와이파이존 보유 사업자로서 입지를 굳혔다.

KT가 와이파이존을 4만개로 확대, 세계 최다 와이파이 구축 사업자가 됐다고 7일 밝혔다. 4만 번째 올레 와이파이존이 구축된 충남 덕산 소재 ‘리솜스파캐슬’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로 와이파이에 접속해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모습.
아울러 우리나라는 KT를 포함, 약 5만 5000여 곳의 와이파이존을 보유, 미국(94,000여 곳), 중국(81,000여 곳)에 이은 세계 3위 와이파이존 보유 국가가 됐다.
세계 최다 와이파이존 보유국가인 미국 경우, AT&T가 가장 많은 2만 3000여 곳의 와이파이존을 보유하고 있다.
KT는 와이파이존이 늘어나면서 기존 서울/수도권 지역, 실내 고정 장소 중심으로 구축됐던 와이파이존이 다양한 장소로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4만 곳의 와이파이존 분포를 보면 ▲서울/수도권 53%, 비수도권 47%로 지방에도 빠르게 와이파이존이 확산되고 있고 ▲ 광화문광장, 광주 충장로 거리, 청계산/지리산, 백령도/마라도 등 옥외지역에도 와이파이존이 늘고 있다. 또한 ▲지하철/택시/한강유람선 등 움직이는 교통수단에도 와이파이가 설치되면서 전국 곳곳이 ‘와이파이 원더랜드’로 탈바꿈하고 있다.
KT는 내년 말까지 올레 와이파이존을 10만 곳으로 확대, 스마트폰 가입자가 200만 명을 넘어서고 K-패드 등 태블릿PC도 속속 출시됨에 따라 급증할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동 와이파이’인 와이브로도 내년 3월까지 전국 82개시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올레 와이파이존의 95%에 802.11n 표준의 최신 와이파이 접속장치(AP: Access Point)를 적용, 100Mbps급 속도의 고품질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키로 했다.
KT 무선네트워크본부 이대산 본부장은 “무선데이터 이용이 늘어날수록 와이파이의 진가는 더욱 커질 것”며, “전국 어디서나 빠르고 경제적으로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와이파이 원더랜드를 만드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와이파이 구축 관련, SK텔레콤은 지난달 28일 2010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T와이파이존을 연말까지 1만 7000개소로 늘리기로 했다, 또 LG유플러스는 5일 실적발표를 통해 올해 1만 6000개의 와이파이존을 내년 5만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