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윈도폰7 단말 글로벌 ‘총공세’

      MS 윈도폰7 단말 글로벌 ‘총공세’에 댓글 닫힘

아이폰 및 안드로이드폰과 스마트폰 ‘3파전’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윈도폰7 탑재 단말이 11일(현지시각) 일제히 선을 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와 AT&T, 삼성전자, LG전자, HTC, 델 등은 1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윈도폰7’ 공식 런칭행사를 열고 유럽, 북미, 아시아 및 호주 지역의 선두 모바일 사업자들을 통해 이번 홀리데이 시즌에 10종의 새로운 윈도폰 7 단말기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MS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30개국 60개 모바일 사업자들이 윈도폰 7 탑재 모바일 단말기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이 날 행사에는 기조연설을 맡은 MS 스티브 발머(Steve Ballmer) 회장을 비롯, 글로벌 미디어와 얼리어답터 등이 참석해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현재 스마트폰 운영체제(OS)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블랙베리, 심비안, 바다 등이 경쟁하고 있으며 MS는 이번 윈도폰7 출시를 통해 내년 스마트폰 시장에 본격 뛰어든다는 방침이다.

◆윈도폰7 탑재 단말, 전세계 출시 예정=이날 기조연설에서 MS 스티브 발머CEO는 “MS와 파트너사들이 첫 선을 보이는 윈도폰7 단말기는 기존 스마트폰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며, “사용자들이 기존보다 간소해진 사용단계를 통해 보다 많은 일들을 빠르게 할 수 있고, 이동 중에도 실시간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해 업무 효율성을 높여준다”고 말했다.

MS는 파트너사들과 함께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휴대폰을 만들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왔다고 설명했다.

윈도폰7은 삼성, LG, 델, HTC 등 단말기 업체와 아메리카 모빌(America Movil), AT&T, 도이치텔레콤(Deutsche Telekom), 모비스타(Movistar), O2, 오렌지(Orange), SFR, 싱가포르텔레콤(SingTel), 텔셀(Telcel), 텔스트라(Telstra), 텔러스(TELUS), T-모바일(T-Mobile USA), 보다폰(Vodafone)등 모바일 통신사업자를 통해 이번 홀리데이 시즌 내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발표될 예정이다.

윈도폰 7이 탑재된 전 기기에는 퀄컴의 스냅드래곤(Snapdragon) 프로세서 기술이 반영됐다. 내년 상반기에는 스프린트, 버라이존 등 미국 통신사를 포함해 보다 폭넓은 제품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일부 제품들은 MS 소매점과 아마존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
MS에 따르면, 윈도폰7은 기존 스마트폰의 틀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애플리케이션과 웹 상의 데이터 및 정보, 그리고 서비스를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윈도폰 7을 탑재한 새로운 휴대폰들은 엑스박스 라이브(Xbox LIVE), 오피스, 준(Zune), 윈도 라이브(Windows Live), 빙(Bing) 등 MS의 풍부한 포트폴리오에 기반한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개인화된 시작화면은 사용자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라이브 타일(Live tile)’로 구성돼 뉴스나 약속, 또는 친구들의 온라인 접속상태 등을 웹을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해준다. 또 앱, 웹사이트, 나아가 사진이나 음악 등 사용자들이 원하는 어떠한 콘텐츠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
윈도폰7은 또한 모바일 게임의 새로운 시대를 연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엑스박스 라이브의 블록버스터급 게임들을 손 안의 모바일 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 또한 올 가을부터는 게임 전문 개발업체 일렉트로닉 아츠(Electronic Arts)의 게임들도 윈도폰 7에서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또한 윈도폰 7은 휴대폰 상에서 ‘준(Zune)’ 뮤직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들이 PC에 저장된 음악들을 무선으로 동기화해 재생하거나 윈도우 마켓플레이스에서 새로운 곡을 실시간으로 감상 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준’ 이용권도 옵션별로 선택할 수 있다.
?
‘빙 모바일(Bing for mobile)’ 검색 등 검색도 보다 쉬워졌으며, 윈도 라이브 솔루션 경우 사용자들이 사진, 윈도 라이브 캘린더, 원노트 모바일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윈도폰 7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해당 홈페이지(www.windowsphone.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삼성?LG “윈도폰7 단말 시장 선점”=이날 삼성전자는 윈도폰7 탑재 ‘옴니아 7’을, LG전자는 ‘옵티머스 7’과 ‘옵티머스 7Q’를 선보였다.

먼저 삼성전자는 ‘옴니아 7’(모델명: GT-I8700) 출시를 계기로 스마트폰에서 안드로이드, 바다 플랫폼에 이어 윈도폰 리더십 주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삼성 ‘옴니아 7’는 이달 21일부터 시작해 프랑스, 영국, 스페인, 독일, 싱가폴, 호주 등 여러 국가에 출시된다.

또한 미국 AT&T를 통해 윈도폰 7 플랫폼을 탑재한 ‘포커스’도 11월경 출시 예정이다.

삼성전자 '옴니아 7'

삼성전자는 ‘옴니아 7’이 자사 첫 윈도폰7 플랫폼 탑재폰으로 블랙잭, 옴니아 등 지속적으로 윈도모바일 폰을 선보인 삼성전자의 축적된 OS 최적화 능력과 SW역량이 투입돼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
특히, 이 제품은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초슬림 디자인을 구현해 여러 윈도폰7 탑재 스마트폰 중에서 소비자들의 가장 많은 관심을 모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했다.

‘옴니아 7’은 엑스박스와 준뮤직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업그레이드된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며, 소비자의 편리를 위해 게임, 영상, 사진, 피플 등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허브 기능을 강화했다.
?
또한, 4인치 슈퍼 아몰레드 WVGA(800X480), 1GHz 프로세서, 빠른 와이파이 전송 속도 등을 지원하며 이동 중에도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매끄러운 느낌의 곡면 디자인을 적용해 그립감을 향상시켰다.
?
이외에도 LED 플래쉬를 지원하는 500만 화소 카메라(AF 지원), 블루투스 2.1, 1500mAh 배터리, 미디어 쉐어링, HD급 영상 녹음(720p) 등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자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인 ‘삼성 앱스’를 통해 기존 윈도모바일용 앱을 공급한 경험을 살려 이번 윈도폰7 에서도 다양한 앱을 공급할 예정이다.
?
MS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앤디 리 사장은 “전 세계에 윈도폰을 제공하기 위해 삼성과 파트너로서 긴밀하게 협력해 왔으며 앞으로도 파트너십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삼성 옴니아 7 출시는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스마트폰 경험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신종균 사장은 “갤럭시S와 함께 윈도모바일 계열에서도 하이엔드 제품군의 히트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멀티플랫폼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LG전자도 윈도폰7 탑재 단말을 이달 유럽/아시아를 시작으로 전세계 순차적으로 내놓는다.

LG전자(www.lge.co.kr)는 MS 윈도폰7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옵티머스 7(Optimus 7, 모델명: LG E900)’과 ‘옵티머스 7Q(LG C900)’를 10월부터 전세계 30여개 국가에 순차 출시할 예정이다.

‘옵티머스 7’은 오는 이달 21일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5개국과 호주, 싱가폴 등 아시아 2개국부터 출시된다. 1GHz 처리속도의 퀄컴 스냅드래곤(QSD8650), 3.8인치 LCD, WVGA급(480×800) 해상도, 16GB 내장메모리, 500만화소 LED 플래시카메라 등 최고급 사양을 적용했다.

美 AT&T를 통해 11월 21일 출시 예정인 ‘옵티머스 7Q’는 3.5인치(800X480) 풀터치 방식에 미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쿼티 자판을 얹어 시장에 특화시켰다. 이외 사양은 옵티머스 7과 동일하다.

LG전자 '옵티머스7'과 '옵티머스 7Q(쿼티 탑재)'

LG전자는 개발 초기단계부터 MS와 긴밀히 협력해 LG만의 독창적인 첨단기능을 옵티머스 7 및 7Q에 대거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폰에 저장된 HD급 동영상/음악/사진 등 고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와이파이를 통해 홈네트워크 기술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지원하는 TV, AV제품 등으로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플레이투(Play to)’ 기능을 유일하게 지원한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또, ▲음성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문자메시지 글을 입력하는 ‘보이스 투 텍스트’ ▲파노라마 촬영 및 인텔리전트 얼굴 인식 ▲증강현실(AR) 프로그램 ‘스캔서치’ 등도 단독 적용했다.

이밖에, 주소록과 페이스북에 있는 친구 소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피플 허브’, 엑스박스 라이브에 접속해 인터넷 게임을 즐기는 ‘게임 허브’, PC에서 쓰는 그대로 워드, 엑셀 등 문서편집이 가능한 ‘오피스 허브’ 등 각종 허브를 ‘라이브 타일(Live Tile)’ 형태로 구성하는 윈도폰7 OS 특징을 살렸다.

‘옵티머스 7’과 ‘7Q’의 무게는 각각 125 x 59.8 x 11.5mm, 119.5 x 59.5 x 15.22 mm이다.

LG전자 MC사업본부 박종석 본부장은 “옵티머스 7 및 7Q는 LG전자의 휴대폰 제조기술과 MS의 소프트웨어 역량이 결집된 신개념 스마트폰”이라며, “LG 전자는 혁신적 기능과 최고의 품질을 갖춘 윈도우폰7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시장 재편에 본격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윈도폰7 탑재 스마트폰의 국내 출시는 내년 중반 이후가 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출시 초기 AT&T를 포함, 북미와 유럽 시장이 우선 공급되며 영어와 불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외 언어는 내년 이후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MS 컨퍼런스 실시간 중계

■2010년 홀리데이 시즌 내 북미?유럽?아시아 출시 윈도폰들(출처: MS)
?
<북미>
AT&T
?Samsung Focus, United States
?LG Quantum, United States
?HTC Surround, United States
T-Mobile USA
?HTC HD7, United States
?Dell Venue Pro, United States

TELUS
?LG Optimus 7, Canada
?HTC 7 Surround, Canada

America Movil
?LG Optimus 7, Mexico
?
<유럽>
O2
?HTC HD7, United Kingdom

Orange
?Samsung, Omnia 7, France, United Kingdom
?LG, Optimus 7, France, United Kingdom
?HTC 7 Mozart, France, United Kingdom

SFR
?Samsung Omnia 7, France
?HTC 7 Trophy, France

Telefonica
?Samsung Omnia 7, Spain
?LG Optimus 7, Spain
?HTC HD7, Spain

Telekom Deutschland
?Samsung Omnia 7, Germany
?HTC 7 Mozart, Germany

Vodafone
?LG Optimus 7, Germany, Italy, Spain, United Kingdom
?HTC 7 Trophy, Germany, Spain, United Kingdom
?
<아시아>
SingTel
?Samsung Omnia 7, Singapore
?LG Optimus 7, Singapore

Telstra
?LG Optimus 7Q, Australia
?HTC 7 Mozart, Australia

(Visited 66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