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3G망?WiFi 확충 ‘공세’

      SKT, 3G망?WiFi 확충 ‘공세’에 댓글 닫힘

SK텔레콤(대표 정만원 www.sktelecom.com)은 데이터 트래픽 발생 상위 지역의 데이터 전용 주파수(FA, Frequency Assignment)를 3배로 늘리고, ‘T wi-fi zone’을 1만 개 소 이상 설치 완료하는 등 ‘데이터 하이웨이’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앞서 SK텔레콤은 스마트폰 확산과 데이터무제한 시행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 급증에 대비, WCDMA 데이터 수용 용량을 6배 이상 늘리고, 음성통화 수준의 안정적인 모바일 데이터 사용이 가능토록 ‘데이터 하이웨이’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텔레콤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확대 등 '데이터 하이웨이' 확충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200만 명을 상회하는 스마트폰 고객들의 무선인터넷 이용 패턴과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전국 평균 대비 2.1배 높은 서울 5개 구(중구, 종로구,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에 우선적으로 이동통신 주파수를 기존 4개의 FA에서 6개의 FA (데이터 전용 FA 3개 포함)로 증설했다.

또, 트래픽 분석결과에 따라 전국 공항, 기차역, 터미널, 식음료 매장을 비롯 신촌?명동?강남역 등에 ‘T와이파이존(T wi-fi zone)’을 집중 설치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이를 통해 출시 한 달 여 만에 데이터무제한 서비스 이용고객이 125만 명을 돌파하고 지난 7월 대비 9월 현재 월 누적 WCDMA데이터 트래픽이 2.8배 이상 늘었음에도 불구, QoS(Quality of Service) 제어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4분기에도 고객에게 안정적인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전용 FA, 6섹터 솔루션, 데이터 펨토셀 등을 활용한 데이터 용량 확충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우선 SK텔레콤은 서울 5개 구에 이어 WCDMA주파수를 활용한 6 FA 증설을 10월 말까지 서울 전역, 연말까지 인천/수원/성남 등 수도권 지역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기존 기지국에 비해 용량을 2배로 확대할 수 있는 ‘6 섹터 솔루션’은 11월부터 적용한다. 서울/수도권/광역시 등 인구밀집지역을 중심으로 기지국 1천 국소에 단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상업/공공시설 주변 기지국의 데이터 수용용량이 대폭 확대될 것이란 기대다.

더불어 SK텔레콤은 ‘초소형 기지국’으로 불리는 ‘데이터 펨토셀’ 개발을 완료하고 11월부터 구축을 시작, 시내 구석구석까지 모바일 데이터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정형 와이파이의 커버리지 및 이동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하철 객차, 버스, 택시 등에 ‘모바일 와이파이’를 연말까지 5천 국소에 설치할 계획이다.

SK텔레콤 하장용 네트워크부문장은 “6 섹터 솔루션, 펨토셀 등을 통해 경쟁사 대비 3배 수준의 데이터 수용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며, “경쟁 우위에 있는 WCDMA 망을 중심으로 와이파이 등 보완망을 활용한 최상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Visited 32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