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자 급증에 따른 모바일 진영의 대응이 ‘소셜 허브’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다. ‘통합’ 개념을 도입, 이용을 쉽고 편하게 하겠다는 취지다.
이에 대응하는 단말 제조업체들 경우, 특히 스마트폰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서비스 차별화를 위한 ‘허브’ 형태 SNS 지원이 활발한 상태다. 여기에 사업자인 KT가 SNS 통합관리 서비스를 내놓고 시장경쟁에 뛰어들었다.
제조업체들 경우, 플랫폼 기반으로 기능 자체 단말에 내장되지만, KT는 브라우저 형태로 단말과 관계없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KT(대표 이석채 www.kt.com)는 9일, 일반 휴대폰에서 국내외 대표 SNS인 트위터, 페이스북, 싸이월드, 미투데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KT 소셜허브(Social Hub)’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KT 고객들은 싸이월드에 접속했다가 종료하고 다시 트위터로 접속하는 번거로움 없이 한번에 국내외 대표 SNS서비스를 통합, 이용할 수 있다.
KT 소셜허브에서 작성한 글이나 휴대폰으로 찍은 사진을 전체 SNS에 동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각 SNS 친구들의 새 글이나 사진도 한번에 확인이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일반폰에서 **0001을 누르고 SHOW버튼을 눌러 접속할 수 있다. 가입이 필요하다. 정보이용료 없이 데이터통화료(0.5KB당 0.25원)만 부담하면 되며, ‘완전자유존’에서는 무료다.
KT는 향후 SNS 새 글을 문자메시지로 알려주는 통합 알리미 서비스와 스마트폰 버전으로 SNS 통합관리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스마트폰 버전 경우,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된다. KT 관계자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용으로 앱을 개발중”이라며, “언제 내놓을 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삼성과 동일한 ‘소셜 허브’를 내세운 데 대해 “브랜드 명이 아니라, SNS 관리 기능으로 쓰이는 일반 용어이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는 갤럭시S와 ‘웨이브’폰 등에서 ‘소셜 허브’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소셜 허브’ 기능 탑재 단말 관련, 지난 3월 ‘CTIA 2010’에서 ‘갤럭시S’를, 6월에는 ‘웨이브(Wave, GT-S8500)’를 소개한 바 있다. 이들 단말기들은 해외향 경우, ‘소셜 허브’를 기본 탑재하고 있다.

지난 3월 'CTIA 2010'에서의 호기로운 발표에도 불구, 국내 갤럭시S에는 '소셜 허브' 기능이 빠져 '다운 그레이드'논쟁을 재차 촉발했다. 이르면 9월 '프로요' 업데이트 시 추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갤럭시S’ 경우, 이르면 9월 안드로이드 OS 2.2(‘프로요’) 업데이트 시 ‘소셜 허브’ 기능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소셜 허브’는 휴대폰 주소록과 통합메시징함을 이용해 해외 주요 사이트의 이메일, 메신저, SNS 등의 정보를 통합 관리, 사용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다.
페이스북, 트위터, 마이스페이스를 통합, 업데이트 소식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위젯 기능도 추가했다. 이처럼 SNS 등을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갤럭시S 이용자들 또한 새로운 차별화 요소로 기대가 크다.
소니에릭슨이 지난 6월 국내 출시한 ‘엑스페리아 X10’은 ‘타임스케이프(Timescape)’를 통해 SNS 등을 통합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화와 문자는 물론 이메일,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싸이월드, 미투데이 등 국내외 인기 SNS까지 플러그 인(Plug-in) 방식으로 연동, 사용자의 모든 스마트폰 사용 기록을 시간 순으로 나열해주는 식이다.
자사 고유의 사용자 경험(UX) 플랫폼을 기반으로, 블로그 등 온라인상에 하루하루를 기록하고 지인들과 공유하는 젊은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블렉베리’ 시리즈로 국내시장도 공략중인 RIM(리서치인모션)도 ‘SNS 통합’ 개념을 자사 단말 전략에 추가했다.
RIM은 최근 자사 새로운 모바일 OS ‘블랙베리6’와 앱 서비스 및 비즈니스 전략인 ‘슈퍼앱(Super App)을 발표하는 간담회를 통해 ‘유저와 앱간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스마트폰 기능의 ‘통합’을 강조했다.
한 예로, 새로운 글이나 사진을 작성했을 때, 이를 트위터로 보낼지 페이스북으로 보낼 지 한 화면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해 번거로움을 덜었다.
RIM은 “‘슈퍼 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저와 앱의 상호작용으로서 이러한 통합으로 스마트폰 경험이 하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관련기사: RIM ‘9700’ 최신OS 갈아입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