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4일 국내 시장에 처음 선보인 안드로이드폰은 영상통화 이용이 많은 국내 사용자를 고려해 안드로이드폰으로는 세계 최초로 영상통화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국내용 안드로이드 전용 UI를 탑재, 일반폰 같은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도 스마트폰 처음 사용자들에게 관심을 모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했다.
![]() |
||
| ▲ 삼성전자가 이르면 이달말 국내업체 첫 안드로이드폰을 SK텔레콤을 통해 출시한다. 안드로이드폰 최초 영상통화 지원에 아이폰과 같은 정전식 터치방식을 채용, ‘손톱 터치’는 이제 불가하다. | ||
김종인 상무는 이와 관련, “안드로이드 UI에 햅틱 UI를 가미, UI나 UX면에서 삼성화를 많이 진행했다”고 사용 편의성 확대를 강조했다.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의 SNS, 날씨/뉴스 등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 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안드로이드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인 ‘안드로이드 마켓’은 물론, SK텔레콤의 ‘T스토어’, 이 곳에 숍인숍 형태로 있는 삼성 앱스토어를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초고화질의 3.7인치 WVGA(800×480) 아몰레드를 탑재해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HD(720p)급 동영상 녹화/재생, H.264, MPEG4, 디빅스(Divx) 등 고화질 동영상 포맷을 지원한다. 일반 이어폰 사용이 가능한 3.5파이 이어폰 잭 등도 장점이다.
애플리케이션 전용 코어텍스(Cortex) A8기반 800MHz 초고속 CPU를 탑재해 빠른 터치 반응 속도를 제공하고 안드로이드폰 답게 G메일, 구글맵, 구글검색 등 구글의 다양한 웹서비스도 빠르게 이용할 수 있다.
실제 현장의 안드로이드폰 터치 결과, 기존 ‘쇼옴니아’보다는 탁월한 페이지 전환 속도를 보였다. 일부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아이폰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도 나왔다.
아이폰과 같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도입했으며, 안테나 내장 지상파DMB도 지원한다. 특히 무선랜 경우, ‘802.11n’을 지원함으로써 기존 ‘802.11g’보다 2배 속도로 이용이 가능하다.
김 상무는 “이번 안드로이드폰은 올해 삼성전자의 첫 스마트폰”이라며, “터치감과 반응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SW를 최적화했고, 고성능 CPU와 직관적 UX 채용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모토로라가 내놓은 국내 첫 ‘모토로이’와는 햅틱 UI 접목을 통한 소비자 사용편의성 증대와 영상통화 등 하드웨어적인 차별점을 앞세웠다.
판매시기는 2월말 혹은 3월초. SK텔레콤을 통해 출시된다. 국내 KT•LG텔레콤과 해외 공급은 아직 미정. 가격은 출시 시기에 맞춰 공개될 예정이다.
▶세티즌 리뷰- ①’미디어데이’ 이모저모 ②제조사 설명 ③동영상 리뷰
※기사 업데이트: 사진 교체 및 ‘세티즌 리뷰’ 추가했습니다.(1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