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에 따르면, 아래 그림은 이번 국제표준 ISO/IEC 13156 규격에서 정의하는 개념을 한 장의 그림으로 도시화 해 설명한 것이다.
![]() |
||
| ▲ 출처: ETRI | ||
이 표준에는 크게 타입 A, B, C 3가지가 존재한다. 그림에서 빨간 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타입 C를 중심으로 타입 A와 B간 저전력 통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타입 A는 대표적으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HD급 영상을 전송하면서 기기들의 화면에 바로 실시간 출력하는 기능이다. 또한,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안테나 빔 스티어링 기술을 사용해 자동으로 우회 반사 경로를 찾아서 고해상 영상을 전송하는 비가시거리(Non Line of Sight) 통신이 가능하다.
타입 A 간 통신은 전송거리 10m까지 최대 6.4 Gbps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타입 B는 타입 A의 간소화된 모델로 전송거리 3m, 최대 3.2Gbps의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고 타입 A에서 가능했던 자동 통신 경로 탐색 기능은 없다. 대신 타입 A보다 저전력으로 점대점, 점대다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타입 C는 전송 거리 1m 이내에서 최대 3.2Gbps의 전송속도로 점대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대신 가장 큰 전력 소모를 필요로 한다.
서로 다른 타입 간 통신을 하는 기능(예: 타입 A와 B 간, B와 C 간, C와 A간)을 지원한다. 이 경우, 보다 낮은 수준의 성능 및 기능을 갖는 타입의 규격을 중심으로 통신한다.
즉, 그림에서 타입 B와 C 간에는 타입 C 규격으로 통신을 하고, 타입 A와 C 간에는 타입 C 규격으로 통신을 한다.
그림에서 KIOSK와 휴대 단말 사이의 데이터 통신 예시도는 휴대 단말을 가지고 비디오 콘텐츠 자판기 KIOSK를 통해 순간적으로(1초 이내) 다운로드 받기도 하고, 휴대 단말에 있는 사진 파일 등을 사진 출력 기능을 가지는 KISOK에 순간 전송, 프린트 하는 서비스 예를 보여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