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김희정 www.kisa.or.kr)은 16일, 지난 9월 실시한 ‘2009년 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09년 9월 현재 만 12~59세 인구의 무선인터넷 이용률(최근 1년 이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무선랜, 초고속 무선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자의 비율)은 54.9%로 전년대비 2.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이용률이 57.3%로 여성(52.4%)보다 다소 높았고, 연령별로는 20대(86.7%) 및 12-19세(82.1%)가 무선인터넷 주이용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무선인터넷 이용 의향자는 72.3%로, 현재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96.4%가 향후 무선인터넷을 계속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유형별로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 의향이 66.8%로 가장 높았고, 무선랜과 초고속 무선인터넷의 이용 의향이 있는 경우는 각각 36.2%, 36.8%였다.
무선인터넷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역시 ‘이용요금 인하(88.0%)’가 꼽혔다. 이외 ‘요금체계의 다양화(44.9%)’, ‘무선단말기, 무선 모뎀 등 장비가격 인하(42.0%)’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40% 이상이었다.
![]() |
||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1일부터 30일까지 30일간 전국 만 12~59세 30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면접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이번 조사의 표본 오차는 무선인터넷이용률 ±1.52%p(95%신뢰수준)이다.
◆정액제, 무선인터넷 이용 증가 이끈다=정액요금제(이하 ‘정액제’) 이용자가 비이용자에 비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더 활발히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액제 이용자의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 빈도가 주평균 4.1회, 1회 접속시 이용 시간은 평균 8.2분으로 정액제 비이용자(주평균 1.2회, 평균 4.7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액제 이용자가 비이용자보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검색(37.6%p 차이)’, ‘음악 듣기 또는 다운로드(32.6%p 차이), ‘게임 다운로드 또는 실시간 게임(34.8%p 차이)’ 등의 이용률이 30%p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정액제 이용자는 ‘야외에 있거나 이동 중에 궁금한 사항이 생기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에서 확인(33.8%)’하거나 ‘가정, 직장 등과 같이 유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곳에서도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이용(28.3%)’하는 경우가 비이용자(각각 11.2%, 15.5%)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경우에도,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80.7%로 일반 이동전화 이용자(48.7%)보다 크게 높았으며,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의 이용 빈도(각각 주평균 3.1회, 1.8회) 및 1회 접속시 이용 시간(각각 평균 7.1분, 5.4분)도 스마트폰 이용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요금에 대한 부담 완화 및 무선단말기의 편리성 증대가 무선인터넷 이용 활성화 제고에 도움을 준다는 게 KISA 분석이다.
한편,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정액요금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29.1%이며, ‘무제한으로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완전 정액요금제(12.4%)’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률 ‘52.6%’=무선인터넷 유형별로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52.6%(전년대비 2.0%p 증가)이며, 무선랜 및 초고속 무선인터넷(WCDMA/HSDPA 및 와이브로) 이용률은 각각 9.2%와 2.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자 경우, 최근 1개월 내(‘최근 1주일 이내’ 14.5%, ‘1주일~1개월 이내’ 16.4%) 이용한 경우도 30.9%로 나타났다. 남성(54.3%)의 이용률이 여성(50.8%)보다 다소 높았으며, 20대(85.0%) 및 12~19세(80.4%)의 80% 이상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자로 집계됐다.
![]() |
||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자는 주평균 2.1회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1회 접속시 이용시간은 평균 5.7분으로 나타났다.
주된 이용 장소는 ‘이동 중인 교통 수단 안(78.6%)’이며, ‘실외 장소(길거리 등)(54.0%)’나 ‘가정(50.5%)’에서 이용하는 경우도 50%이상이었다.
![]() |
||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통해 주로 이용하는 것은 ‘폰 꾸미기(벨소리, 배경화면 등 다운로드)(80.5%)’였으며, 다음 ‘MMS(76.0%)’, ‘음악(MP3 등) 듣기 또는 다운로드(38.0%)’, ‘정보검색(30.9%)’, ‘게임 다운로드 또는 실시간 게임(24.9%)’ 등의 순이었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는 ‘장소와 관계없이 인터넷 이용이 가능해서’가 81.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필요시 즉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어서(68.7%)’, ‘여유시간에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63.1%)’, ‘이동 전화 무선 인터넷 전용 서비스나 콘텐츠 이용을 위해서 (43.7%)’ 등이었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57.7%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 중 실시간으로 발생한 요금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43.6%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시 유료 콘텐츠와 무료 콘텐츠를 구분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 |
||
또 ‘유선인터넷과 요금이 유사하다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것이다(37.9%)’ 또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믿을 만하다(35.4%)’는 응답도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외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20.9%는 이용요금으로 월 평균 5천원 미만을 지출하고 있으며, 5천-1만5천원 미만(‘5천-1만원 미만’ 28.1%, ‘1만-1만5천원 미만’ 19.1%)을 지출하는 경우는 47.2%로 조사됐다.
![]() |
||
◆무선랜•초고속 무선인터넷 이용률 ‘아직~’=만 12~59세 인구의 9.2%(전년대비 1.5%p 증가)가 최근 1년 이내 무선랜을 이용한 ‘무선랜 이용자’이며, 최근 1개월 이내 이용한 경우는 5.4%로 나타났다.
남성의 무선랜 이용률은 10.9%로 여성(7.4%)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이용률이 18.5%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10.6%), 12~19세(7.1%) 등의 순이었다.
무선랜 이용자의 88.1%가 ‘노트북(UMPC, 넷북 , MID 등 포함)’을 통해 무선랜에 접속하고 있으며, ‘MP3플레이어(10.5%)’, ‘게임기(5.8%)’, ‘PDA폰, 스마트폰(5.1%)’ 등을 통해 무선랜을 이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된 무선랜 이용 장소는 ‘직장(45.8%)’이나 ‘가정(42.3%)’이며, ‘이동중인 교통수단 안(29.6%)’, ‘학교, 학원(26.3%)’, ‘상업시설(커피숍 등)(20.2%)’에서 이용하는 경우도 20% 이상이었다.
최근 1년 이내 초고속 무선인터넷(WCDMA/HSDPA 및 와이브로)을 이용한 ‘초고속 무선인터넷 이용자’는 2.7%(전년대비 0.1%p 증가)였다.
남성의 초고속 무선인터넷 이용률은 3.7%로 여성(1.6% )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이용률이 4.6%, 30대 4.3%, 40대 2.1% 등으로 나타났다.
초고속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87.5%는 ‘노트북(UMPC, 넷북, MID 등 포함)(77.3%)’, ‘내비게이션(7.2%)’ 등의 무선인터넷 단말기에 ‘초고속 무선인터넷 모뎀을 연결해 이용‘하고 있으며, ‘초고속 무선인터넷 전용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15.6%였다.
초고속 무선인터넷을 ‘이동 중인 교통 수단 안‘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68.9%로 가장 많았으며, 다 음으로 ‘실외 장소(길거리 등)(44.1%)’, ‘직장(28.1%)’, ‘가정(28.0%)’ 등의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