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생활 속의 GPS’(유블럭스)
향후 높은 시장 잠재력이 기대되는 GSM과 GPS의 결합
글/지현진, 유블럭스 코리아 지사장·칼 펭거, 유블럭스 통신 사업부 매니저
우리는 현재 통신 산업의 새로운 교차로에 서있다.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고정식 혹은 휴대형 음성, 인터넷 서비스 상호 컨버전스 제품을 지속적으로 상품화하는 동시에 각 가정에서 광대역 액세스를 가능케 하는 케이블 공급업체들의 공격에 직면해있다. 한편 스카이프, 구글톡, 야후/MS 메신저 등 온라인 공급업체들은 VoIP와 비디오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며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글로벌 포지셔닝 분야에서 수익 구조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GPS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널리 채택 되었지만 자동차 GPS 시장은 과잉공급으로 인해 오히려 수익 감소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포지셔닝 관련 기기 제조업체들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개인용 네비게이션 기기(PND)와 같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찾고 있는 추세이다.
![]() |
||
| ▲ 타이페이 전자 버스 시스템: GPS/GPRS 통합 기술 구현 | ||
그러나 오늘날 GPS 산업은 이러한 기기 사용자들이 특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가는 길을 찾도록 돕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중 소비가전 서비스 시장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활로를 찾는 과제 또한 안고 있다.
서비스 공급업체들이 찾고 있는 차세대 수익원의 답은 먼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발 아래에 있다.
즉, GSM과 GPS 기술이 통합된 결과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고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그 해답이다. 몇 가지 기술적 장애물이 극복되어 서비스 제공업체, 콘텐츠 공급업체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만한 시장이 형성되면 이 서비스는 모두에게 충분히 새롭고 매력적으로 다가가는 동시에 공급업체들에게도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GSM과 GPS의 결합은 이미 매우 실용적인 단계에서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통합된 기술을 이용하면 기기, 자동차 및 기계는 자신의 물리적 위치를 측정해 그 정보를 세계 어디에나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관리는 통합된 GSM/GPS 애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빨리 전 세계에 확산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최근 예로 타이페이 전자 버스 시스템(Taipei e-bus system)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대만의 전자 플랫폼 전문업체와 유블럭스의 물류 관리 솔루션 협력업체인 Advantech가 대만 수도인 대북(www.e-bus.taipei.gov.tw)의 300 구역에서 운행 중인 4000여대 버스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이 솔루션은 인터넷 또는 혼합 라인 및 휴대폰을 이용해 버스 위치와 도착 시간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GSM 접속 성능을 결합한 유블럭스의 LEA-5S GPS 수신기 모듈이 사용된다.
GSM과 GPS를 결합한 소비 가전 애플리케이션 또한 시장에 출시되기 시작했다. 또 하나의 예로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Anaheim)에 소재한 로케이션 베이스드 테크놀로지스(Location Based Technologies)라는 회사는 사람 및 애완동물의 위치 추적을 위해 ‘포켓파인더(Porketfinder; www.pocketfinder.com)’와 ‘펫파인더(Petfinder)’라는 포켓 크기의 실시간 위치 탐지기를 팔고 있다.
![]() |
||
| ▲ 유블럭스의 소프트웨어 GPS + GSM 솔루션을 내장한 위치 기반 기술의 포켓파인더(PocketFinder). | ||
유블럭스의 독자적인 소프트웨어로 지원되는GPS솔루션 ‘캡처 앤 프로세스(Capture & Process)’를 기반으로 하는 포켓파인더는 GSM/GPRS을 접속시키면서도 저전력 GPS를 7일간의 배터리 수명으로 구현해 휴대폰이 작동되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실시간으로 추적을 가능케 한다. 사용자는 단순히 인터넷상의 ‘대시보드”메뉴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이 기기의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손바닥 크기의 이 기기는 자녀들과 애완 동물이 언제 어디에 있는지는 물론 10대 자녀들이 부모의 자동차를 얼마나 빨리 운전하고 있는지도 보여준다.
이러한 형태의 소비 가전 기기를 매개체로 하는 통신업체들의 사업 모델은 기존의 휴대폰 서비스와 매우 유사하다. 수익 대상은 다음과 같다.
• 개별 위치 ‘조회’: 사용한 만큼 지불
• 고정 요금: 정액제 (얼마든지 원하는 대로 조회가 가능)
• 선불: 특정 조회 횟수에 대한 사전 요금 지불
• 커버 지역: 로컬 대 로밍 청구서와 유사
•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의 예: 애완견이 뒷마당을 벗어나는 경우에 알림 경고 (‘지오팬싱 – Geofancing -’이라고도 불림)
이 기기의 가격은 현재 미화 130달러 이하인데 보조금이 지급되거나 서비스 번들 상품의 종류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기도 한다.
다른 무선 네트워크와 결합된 GPS는 최고급 응급 위치 탐지기 서비스를 구현시켜 원격 위치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이 기기들은 휴대폰 작동 지역 범위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응급 정보를 버튼 터치 방식으로 전송해 응급 문자 메시지를 보낸다.
![]() |
||
| ▲ McMurdo의 패스트파인드 개인 위치 | ||
이러한 응급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예를 들자면 영국의 McMurdo(www.mcmurdo.co.uk)는 최근 유블럭스의 LEA-5A GPS 수신기 모듈을 기반으로 한 ‘패스트파인드 개인 위치 표시기(FastFind Personal Location Beacon)’라는 휴대용 응급 위치 장치를 출시했다. 이 기기는 세계 COSPAS SARSAT 406MHz 서치 및 구조 위성 통신 시스템을 통해 위치 정보 데이터를 세계 어디서나 수신 받게 한다. 위성 위치 탐지기 솔루션은 전 세계에서 작동 가능하며 위성 서비스 공급업체는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통합 무선/GPS 서비스는 이미 휴대폰, 넷북, 개인 네비게이션 기기에 공급되고 있다. 특히 위치 인식 기능은 2009년 10월 22일에 출시 예정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7 버전의 센서 및 위치 플랫폼으로 구현될 것인데 유블럭스가 이를 지원하게 된다.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되는 큰 화면의 이 기기는 다음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로 구현될 예정이다.
![]() |
||
| ▲ 차세대 GPS 기기는 당신이 있는 위치에 대해 알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한다. | ||
• 내 주변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예; 쇼핑, 레스토랑, ATM, 대중교통, 여행자 정보, 경찰) 포함사항은 아래와 같다.
o 어떻게 거기를 찾아가는가? 차량 및 보행자를 위한 경로 안내
o 사진, 메뉴 및 특별 제안 또는 세일을 위한 광고 (배고프세요? 두 사람을 위한 스페셜 피자를 원하시면 OOO피자로 가십시오. 왼쪽으로 50미터만 걸어가면 됩니다!)
• 내 주변에 누가 있나요?
o 근처에 내 친구나 가족이 있나요? 어떻게 그들을 찾을 수 있나요?
o ‘근접 데이트(Proximity Dating)’와 같은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사전에 프로그램 된 프로파일(예: 저는 비흡연자로 클래식 음악, 하이킹 및 사진에 관심 있는 25-35세 여자를 찾는 30세 남자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연락주세요. 저는 200미터 근처에 있습니다.)에 맞는 근처의 “데이트”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
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업체의 사업 모델을 통해 손쉽게 지원될 수 있다: 신청, 선불, 고정 요금(per-fix), 콘텐츠 호스팅, 근접(100미터 반경, 500미터 반경 등등), 구역 기반(구역, 지역, 나라 전체), 사용자에 특화된 경고 알림 및 위치 관련 광고를 사용자들에게 노출하는 지능형 광고 서비스.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콘텐츠를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낼 수 있다. 흥미로운 장소와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사진이 사업/서비스 소유자는 물론 수 천명의 사용자 기기에 제공될 수 있으며, 구글 어스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로 전송도 가능하다. 서비스 이용자는 새로운 콘텐츠 이용에 대한 보상으로 “보너스 포인트”를 받기도 한다.
GSM(뿐 아니라 다른 무선 기술들)과 GPS 결합 서비스는 향후 높은 시장 잠재력이 기대되며 사업, 쇼핑, 여행, 오락, 응급 서비스와 사회적 네트워킹을 위해 새롭고 매력적인 대중 시장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와 관련 사업 모델은 인터넷이 진화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무선 서비스 제공업체, 콘텐츠 제공업체 및 소비자들의 참여로 진화 및 성장할 것이다.
◆저자 소개
지현진, 유블럭스 코리아 지사장
![]() |
||
지현진 지사장은 무선통신용 반도체(TriQuint, SiLab),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Cadence), 전자부품 & 통신 테스트 장비(HP & Agilent), GPS 반도체(Nemerix) 분야에서 15년 동안 세일즈 경력을 쌓아왔다. 중앙대학교 제어계측공학 학부를 졸업했으며, 해군통신장교(OCS 87)로 복무했다.
![]() |
||
칼 펭거/ 유블럭스 통신 사업부 매니저
칼은 미국과 스위스에서 25년간 반도체, 소프트웨어, 통신 및 GPS 분야 전문가로 경력을 쌓아왔다. 캘리포니아 대학 전기 및 컴퓨터 엔지니어링 학부를 졸업한 칼은 엠베디드 컴퓨팅, 통신 서비스 청구 및 브로드밴드 멀티미디어 배급 분야에 대한 수많은 기술 원고와 컨퍼런스 논문을 발표했다. 칼은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이며 체스의 고수이다.
◆유블럭스는 어떤 회사?
유블럭스는 소비 가전, 산업 및 자동차 시장에 임베디드 포지셔닝 솔루션 및 무선 통신 솔루션을 제공하는 팹리스 반도체 회사이다.
유블럭스의 솔루션은 사람, 기기 및 기계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며 음성, 문자 또는 영상을 이용해 무선 통신을 구현시킨다. 무선 모듈 및 솔루션과 함께 다양한 GPS 모듈, 카드, 칩, 소프트웨어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는 유블럭스는 OEM 고객사들이 혁신적인 솔루션을 비용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 |
||
| ▲ 유블럭스 본사 전경 | ||
스위스에 본사를 둔 유블럭스는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지역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18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1997년에 설립된 유블럭스는 현재 SIX 스위스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u-blox.com를 방문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