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터넷 10명중 8명 쓴다

      국내 인터넷 10명중 8명 쓴다에 댓글 닫힘

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는 모두 3680만명으로 인터넷 이용률은 77.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이용자 대부분이 인터넷이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실시한 ‘200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만3세 이상 국민의 인터넷이용률은 77.2%, 이용자수는 3658만명으로, 전년대비 각각 0.7%p와 39만명이 증가했다(표본오차 : ±0.12%p, 95% 신뢰수준).

남성의 인터넷이용률은 82.4%, 여성은 71.9%이며,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층(10대 99.9%, 20대 99.7%, 30대 98.8%)의 대부분이 인터넷 이용자이고, 3~9세 및 40대의 이용률도 각각 85.4%, 84.3%로 나타났다.

특히, 50대(52.3%)의 경우 인터넷이용률이 2008년 대비 3.4%p 증가하며 처음으로 50%대를 넘어섰다.

   
▲ 출처: 방통위•KISA, ‘200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또 초고속인터넷이 보편적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면서 국내 인터넷 이용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12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72.3%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은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12-19세 82.2%, 20대 84.0%, 30대 73.7%, 40대 63.1% 등) 인터넷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했다.

특히, 인터넷이용률이 100%에 달하는 학생(99.9%)의 경우에는 81.1%가 ‘학업에서 인터넷이 중요하다’고 답변, 직장인이 ‘직장업무에서 인터넷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 출처: 방통위•KISA, ‘200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주요 인터넷 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이메일 이용률이 8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인터넷쇼핑(62.3%), 블로그(이용률 59.7%, 운영률 44.6%), 메신저(51.0%), 인터넷뱅킹(41.2%) 등의 순이었다.

   
▲ 출처: 방통위•KISA, ‘200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또한, 만18세 이상 구직자의 76.7%가 인터넷을 통해 채용정보 획득, 이력서, 입사지원서 등록•관리•제출 등의 구직활동을 하고 있으며, 구직정보 획득도 인터넷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인터넷 75.6%, 생활정보지 33.3%, 친구, 동료 등 지인 33.1% 등).

방통위는 “이번 조사결과, 인터넷은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돼 있는 물리적 환경일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학업, 직장업무 등의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부에서는 앞으로도 인터넷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생활미디어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고 말했다.

(Visited 30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