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권 LG電 사장, “스마트폰 본격경쟁 대응”

      안승권 LG電 사장, “스마트폰 본격경쟁 대응”에 댓글 닫힘
   
▲ LG전자 MC사업본부장 안승권 사장(왼쪽 두번째)이 밝힌 아레나폰 판매목표는 500만대다. AMOLED 대응은 다소 이르다는 반응이며, 7월 앱스토어를 출시, 콘텐츠 경쟁에도 뛰어들겠다고 밝혔다.

LG전자가 1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자사 전략모델인 ‘아레나(ARENA)’폰의 20일 국내 출시를 공식화했다. 이미 지난 3월 유럽지역에 선보인 바 있는 이 휴대폰은 특히 3차원(3D) S클래식 UI(사용자환경)을 탑재,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이날 LG전자 MC사업본부장 안승권 사장은 아레나폰의 판매목표를 최소 500만대로 잡았다. 하이엔드 제품으로 기획된 만큼, 비슷한 수준의 단말 시장점유율이 5%인 데 비하면 보급형보다 점유율이 떨어진다는 게 안 본부장 설명이다. 올해 판매는 그 1/10인 50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LG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에 대응,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간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힌 부분도 눈길을 끈다. LG전자는 이미 지난 2월, MS와 제휴한 데 이어, 현재 안드로이드 탑재 ‘구글폰’ 개발에도 나서고 있는 상태다.

안 본부장은 “다양한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폰 개발에 있어서도 시장 대응을 본격화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 본부장에 따르면, LG전자의 구글폰은 늦어도 내년 초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단말의 진화와 관련,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AMOLED 휴대폰’ 관련, 안 본부장은 “AMOLED는 LCD 가격 수준대까지 이르러야 본격 경쟁이 가능할 것”이라며, 본격 활성화는 향후 1~2년 뒤에나 시작될 것이란 입장을 보였다. AMOLED 휴대폰 출시의 고삐를 죄는 삼성전자와의 단말 전략 차별화를 분명히 한 것이란 분석이다.

안 본부장은 또 현재 국내외 사업자와 제조사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앱스토어 관련, 7월 오픈 방침을 전하며, 완전한 오픈 시스템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것임을 내비쳤다.

한편, 안 본부장은 올해 연말 LG전자의 실적 목표와 관련, “세계 시장점유율 10%”를 못박았다. 가격 경쟁은 하지 않는 대신, 중저가 시장으로도 프리미엄 이미지를 확산시키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는 안 본부장은 이 예로 ‘쿠기폰’과 ‘브리오’를 꼽았다.

안 본부장은 “향후 1~2년간 점유율 경쟁을 벌이는 대신, 고객 가치를 우선 해 브랜드 가치를 어떻게 키워갈 지에 초점을 맞춰나가겠다”고 덧붙였다.

(Visited 18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