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역LTE 수도권 구축” KT ‘氣살까?’

      “광대역LTE 수도권 구축” KT ‘氣살까?’에 댓글 닫힘
KT 직원들이 25일 경기도 북단에 있는 임진각에서 KT의 광대역 LTE로 빠른 무선데이터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KT 직원들이 25일 경기도 북단에 있는 임진각에서 KT의 광대역 LTE로 빠른 무선데이터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KT는 국내 통신사 최초로 서울지역 광대역 LTE 서비스에 이어 수도권 전 지역에 광대역 LTE를 구축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KT는 이날 광화문사옥에서 네트워크부문장 주관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를 공표했다. 내년 1월까지 전국서비스 준비를 완료하는 데 이어 내년 하반기 최대 225Mbps급의 속도로 업그레이드해 제공하겠다는 게 KT의 복안이다.

KT는 “지난 9월 14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서울시 4개구(강남구, 서초구, 중구, 종로구) 지역을 시작으로 9월말 서울전역에 구축 완료했고, 11월 25일 인천ㆍ경기를 포함한 수도권 전 지역과 지하철 전구간에 광대역 LTE를 완료함으로써 현재 수도권 전역으로 광대역 서비스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로써 KT의 LTE고객들은 서울은 물론 인천 백령도 등 섬지역과 파주시 임진각 등의 경기 외곽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전 지역(옥내ㆍ외)에서 최대 150Mbps급의 속도로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수도권 전 지역의 지하철 및 철도 구간에서도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하다.

KT의 경우 기존의 주력망인 1.8GHz 대역을 그대로 광대역화 해 고객입장에서 기존 LTE 단말로도 최대 100Mbps급의 속도와 신규 단말기 교체를 통해서는 최대 150Mbps급의 LTE 속도 구현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전국적으로 10만개의 1.8GHz 광대역 기지국과 22만개의 중계기를 보유한 사업자는 KT가 유일해 전파 전달이 가능한 건물 내부와 지하에서도 진정한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KT는 “전국 61만 Km의 광케이블을 활용한 광대역 퍼블릭 펨토셀 신기술을 활용해 소형 오피스, 영화관, 레스토랑, 학교 내 음영지역을 완벽히 해결하고, 광대역 홈펨토셀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집안 구석구석까지도 전파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KT는 “지난 9월 14일 서울 지역 광대역 LTE 서비스 개시 이후로 고객 체감 속도 증가와 더불어 트래픽 다운로드 시간 단축으로 KT 고객의 서비스 사용량이 11월 1일~11월 22일 기준 20% 이상 증가 됐다”고 전했다.

한편, KT는 광대역 LTE와 더불어 900MHz와 1.8GHz를 결합해 최대 150Mbps급의 전송속도를 제공해주는 LTE-A 서비스도 서울/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전무는 “정부 방침에 따라 1.8GHz 광대역 주파수가 내년 3월부터 광역시, 7월 이후 전국 광대역 LTE 서비스 제한이 있는데, KT는 내년 1월 중 광대역 LTE 전국망 서비스 구축 준비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2014년 하반기에는 광대역 LTE와 LTE-A가 모두 수용 가능한 전용 칩셋이 출시되는 시점에 최대 225Mbps급의 속도로 업그레이드하여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Visited 40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