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LTE 가입자 1000만 돌파

      SK텔레콤 LTE 가입자 1000만 돌파에 댓글 닫힘
SK텔레콤 LTE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SK텔레콤 LTE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SK텔레콤의 LTE 고객이 상용화 1년 9개월만에 1000만명을 돌파했다.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19일 기준 자사 LTE고객이 10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 같은 LTE 고객 증가세에 힘입어 전체 고객(3G, 4G 포함)의 일일 데이터 트래픽량이 이달 중 1페타(1024TB)를 넘어설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1PB(페타바이트)는 1MB(메가바이트)의 1024 x 1024 x 1024 배(1,073,741,824MB)로, 이는 노래 한곡이 5MB 라고 했을 때 2억 1474만 8364곡을 다운로드하고, 영화 한 편이 700MB 라고 했을 때 영화 153만 3916편을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이다.

LTE 가입자 1000만명 돌파는 ‘11년 7월 LTE 상용화 이후 1년 9개월 만의 성과로, 이는 SK텔레콤의 3세대 이동통신 WCDMA가 ‘06년 5월 상용화된 이후 1,000만 명 돌파까지 3년 1개월이 걸린 것을 감안하면 약 두 배 정도 빠른 속도다. 지금까지 단일 통신회사의 LTE 가입고객이 1000만명을 넘은 곳은 미 버라이즌과 AT&T, 일 NTT 도코모 뿐이라고 SK텔레콤측은 추산했다.

아울러 SK텔레콤의 LTE고객은 ‘11년 말 기준 63만 명으로 전체 고객의 2.4%에 불과했지만, ‘13년 4월 현재 전체 2650만 고객의 37% 수준으로 고객 비중도 크게 확대됐다.

이와 같이 LTE 고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할 수 있었던 비결로 SK텔레콤은 ▲세계 최고의 LTE품질을 조기 확보하고 ▲LTE특화 서비스·콘텐츠로 차별화 했으며 ▲고객 취향에 맞춘 다양한 단말기를 출시하는 등 한 발 앞선 전략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은 올해 연말까지 LTE고객이 15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오는 9월 LTE-A 상용화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빠르고 안정화된 이동통신 품질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회사측은 ‘1일 1 PETA’ 시대에 접어들게 된 배경으로 풀(Full) HD급으로 점점 커지는 화면을 갖춘 스마트폰의 등장과 각종 태블릿 PC에 이어 LTE를 내장한 노트북 등 데이터 다량 소비형 모바일 기기의 확산 등을 꼽았다. 최근 들어 이 같은 모바일형 세컨드 디바이스(2nd device)의 확산 추세 등을 감안하면 폭발적인 데이터 양의 증가세는 쉽게 누그러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PETA는 LTE를 처음 상용화했을 때인 2011년 7월 전체 트래픽의 약 5배에 달하며, 3G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도입하기 직전인 2010년 8월 대비 약 100배 가량 증가한 양이다. 이같이 빠르게 증가한 무선 데이터 증가 속도에도 불구하고 병목구간없이 음성/데이터 트래픽을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운용하는 것이야말로 SK텔레콤만의 진정한 기술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은 9월에 본격적으로 상용화 예정인 LTE-A의 경우 약 2만여 개의 기지국을 통한 가장 넓은 커버리지 확보를 통해 더 많은 고객에게 더 빠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 장동현 마케팅부문장은 ”세계 최초 LTE기술과 혁신적 서비스ㆍ요금상품을 차례로 선보이며 국내 최초 1,000만 가입 등 LTE대중화 시대를 크게 앞당길 수 있었다”며 “올해 LTE가 명실상부하게 국내 최다가입자망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LTE를 중심으로 ICT산업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Visited 3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