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립니다]
‘셀룰러뉴스’는 오늘(14일)부터 ‘CEO말말말’ 코너를 신설, 운영합니다. 하루 수십 종의 보도자료는 온라인 매체라도 모두 소화할 수 없습니다. 당일 제공되는 보도자료에 인용된 업체 CEO 및 담당부서장들의 멘트만 따로 소개, 업체의 새 소식을 전달하기 위한 기획입니다. 매일 오전 11시 제공 되며, 오후 업데이트 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 드립니다.
2012년 11월 14일(수)
“사람을 향한 SK텔레콤의 기술로 학생들이 장애라는 벽을 뛰어넘어 새로운 가능성의 세상을 열어나가길 바라는 취지에서 가능성 교실을 마련했다. 사람을 향한 따뜻한 조화와 공존의 기술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롤 모델이 되기를 기대한다.”-SK텔레콤 하성민 사장. 서울 구로구 궁동 소재 장애인 학교인 서울 정진학교에서 자사의 학습 지원 솔루션인 ‘스마트 로봇’ 을 적용해 장애 학생들의 학습을 도울 수 있도록 마련한 ‘가능성 교실’ 오프닝 행사 관련.
“KT의 1.8GHz주파수가 ‘글로벌 공용 LTE 주파수’여서 해외 사업자 역시 LTE 로밍에 가장 적합한 파트너로 인정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더 많은 국가에서 편리하게 LTE 로밍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kt Proudct본부장 강국현 상무. 국내 최초 홍콩 3개 사업자(차이나모바일 홍콩, 허치슨, 스마톤)와 홍콩 전역에서 LTE 자동 로밍 서비스 시작 관련.
“급변하는 시장에서 빅데이터 분석은 기업의 사활을 좌우할 정도로 기업 전략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됐다. SAP HANA on?ucloud를 이용하는 기업들이 고객동향 및 시장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KT 클라우드추진본부 김지윤 본부장. KT 유클라우드, SAP와 협력해 글로벌 시장 진출 관련.
“기존 케이블방송 중심의 사업에서 헬로모바일과 티빙 등으로 사업영역을 다각화하며 기술기업과의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스마트 케이블’과 ‘스마트TV’로 대표되는 차세대 스마트 방송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기술 기업과의 협력이 절실하다.”-CJ헬로비전 변동식 대표. CJ헬로비전, ‘헬로 TECH 포럼’ 개최 관련.
“아이러브커피 웹버전 출시 시, 자체개발한 2D bone tool 기술을 활용해 국내 이후 중국.대만.태국을 2개월만에 연이어 서비스 할 수 있었다. 모바일 버전에서도 동 기술을 활용해 해외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파티스튜디오 그래픽총괄(CDO) 심정섭 이사. 게임업계 최초로 녹색인증 획득 관련.
“모바일 기기의 다양화와 대중화에 따라 이를 활용 한 기업들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과 차별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Any Device, Any Platform, Any Screen을 지원하는 M-Screen UI 플랫폼은 이러한 기업들의 차별화 니즈 뿐 아니라, 개발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LG CNS 정보기술연구원장인 이수강 상무. 업계 최초 ‘기업용 반응형 웹
UI 솔루션’ 출시 관련.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안에서도 내비게이션과 연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Phone-to-car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임베디드 분야에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스마트카 시대를 앞당기는데 기여하겠다.”-MDS테크놀로지 장명섭 전무(CTO). 스마트카 솔루션 ‘네오링크(NeoLink)’ 국내외 마케팅 본격화 관련.
“KM플레이어는 확고한 사용자층과 더욱 견고해진 멀티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제휴에도 박차를 가하고?있다. 대만, 중국, 베트남, 싱가폴, 일본, 러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업체와의 타겟 비즈니스를 통해 각 국가별로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NHN 등 해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과의 비즈니스 제휴가 늘어날 전망이
다. 앞으로 적극적인 신규투자를 통해 대한민국이 만든 글로벌 멀티미디어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정태식 KM플레이어 사업 총괄이사. ‘KM플레이어’ 사용자 2억명 돌파 관련.
“실내의 공기 질은 건강을 좌우할 만큼 현대인에게 중요한 문제”라며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한백희 전무. 14~16일까지 동경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병원복지설비기기 국제박람회(HOSPEX Japan 2012)에 공기제균기술 ‘S-Plasma ion’과 고성능 집진필터 ‘K엘리먼트’ 출품 관련.
“ NCP6338에 집적된 모든 기능은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추가 전력 부품의 필요성을 배제해 전체적인 설계 비용을 줄여주며 보드 공간을 아껴 설계 공정을 간편하게 한다. NCP6338은 배터리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기 위해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실제 부하에 대한 출력 전압을 설정한다. 또한 이 컨버터는 멀티코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위한 부하의 과도 전류의 요구
조건에 부합함으로써 스마트폰과 휴대용 게임기에 필요한 성능과 그래픽 품질도 만족시킨다.”-온세미컨덕터의 인터페이스 전력 IC 제품사업부 이사인 티볼트 카시르(Thibault Kassir). 휴대용 전자기기의 그래픽과 코어 프로세서용DC-DC 컨버터 출시 관련.
“식당 대기시간은 바쁜 직장인들에게는 불필요한 ‘시간 낭비’로 여겨지기 마련. 효율적인 시간관리를 위해서는 우리 나라도 예약 문화가 보편화되어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위시랜드 최윤호 대표. 직장인들이 식사를 하기 위해 식당에서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은 최대 1시간으로 조사됐다는 설문 관련.
“젊은 세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207의 후속 모델을 국내 시장에 출시하는 만큼 이번 208 출시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국내 수입 자동차 시장에서도 푸조 208이 혁신을 일으킬 수 있기를 바란다.”-한불모터스 송승철 대표. 푸조, 컴팩트 프리미엄 해치백 208 국내 시장 출시 관련.
“터키는 최근 몇 년간 상당히 많은 제도 개혁으로 비즈니스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지만 터키의 여성 기업가들이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DWEN 회원과 델이 터키의 기업가 정신을 인정하고 국제 행사를 터키에서 개최한다는 것은 기업가들에게 의욕과 동기를 고취시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인디버 터키(Endeavor Turkey)의 디덤 일톱(Didem Altom)이사. 여성기업가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제4회 DWEN 컨퍼런스 개최 관련.
“이 새로운 AOC 제품은 고대역 플러거블(pluggable) 광학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우리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주고 있다. 우리의 입증된 설계 기술과 양산 전문 지식을 투입해 이전에 동케이블만이 있었던 시장에 다양한 부문으로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다.”-아바고의 광섬유 제품군 부문 총괄 부장인 샤론 홀(Sharon Hal). 고성능 연산 및 데이터센터 응용 분야를 위한 새로
운 액티브 광케이블(Active Optical Cable) 제품군인 고밀도 SFP+ QSFP+ 및 CXP 솔루션 발표 관련.
“20나노 포트폴리오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imperative) 수요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다. 막대한 디자인 비용뿐만 아니라 최대 적응성, 재사용, 시스템 통합과 함께 모든 시스템에서 보다 많은 지능(intelligent)이 지속적으로 투입돼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프로그래머블 수요는 점점 늘어가고 있다.”-자일링스 사장 및 CEO 인 모쉬 가브리엘로브(Moshe Gavrielov). 28나노 기반의 20나노 올 프로그래머블 포트폴리오 발표 관련.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에서 아우디의 전략적 혁신 파트너가 되어 매우 영광스럽다. 이는 NXP의 탁월한 고객 지원과, 최고 품질의 솔루션 및 혁신성에 대해 업계가 인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우디와 NXP의 강력한 협업은 NXP가 집중하고 있는 커넥티드 카를 위한 기술이 업계가 나아가는 방향과 일치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입증하고 있다.”-NXP의 자동차 사업부 총괄인
커트 시버스(Kurt Sievers). NXP, 자동차 혁신 위해 아우디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관련.
“용량, 수납편의성, 스마트기능 등 모든 면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사양을 갖춘 혁신 제품이다. 고객에게 진정한 가치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능으로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다.”-LG전자 HA사업본부 윤경석 냉장고 연구소장. ‘스마트 디오스 V9100’ 전격 출시 관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