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SK텔레콤에 대해 와이브로 주파수가 재할당됐다.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 등을 지원, LTE 확산에 대응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지만,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6일 전체회의 의결을 거쳐 이달 29일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2.3㎓ 대역 와이브로(WiBro) 주파수의 재할당을 신청한 KT와 SK텔레콤에 대해 이를 허가했다고 밝혔다.
와이브로 재할당 심사는 방송통신관련 주요 단체, 학회, 연구기관 등으로부터 방송통신, 경영, 회계분야 등의 전문가를 추천받아 16명으로 심사위원단을 구성해 이뤄졌다. 사업자가 제출한 주파수이용계획서에 대해 전파자원 이용 효율성(50점), 재정적?기술적 능력(각25점)을 평가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재할당 심사기간 중 KT와 SK텔레콤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투자비 및 가입자 유치목표를 상향 조정하고, 신규 요금제 출시계획 등을 포함한 주파수이용계획서를 수정?보완해 제출했다.

방통위가 KT와 SK텔레콤의 기존 와이브로 주파수 재할당을 의결했다. LTE 확산에 맞설 대응책 부재는 여전히 고민거리다. 고객들이 지하철에서 4G 와이브로를 이용한 이동 와이파이에 접속해 스마트폰으로 무선인터넷을 즐기고 있다.
심사위원단의 평가결과, 양사는 심사사항별 60점 이상, 총점 70점 이상을 획득해 적격 판정을 받아 재할당 대상 법인으로 선정됐다. 재할당 대가 납부 등 필요사항을 이행하면 KT는 2330~2360㎒(30㎒폭), SK텔레콤은 2300~2327㎒(27㎒폭) 주파수를 전부 재할당 받아 이달 30일부터 향후 7년 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재할당 대가는 예상매출액 기준 KT 193억원, SKT 173억원이다. 실제매출액 기준 매년 2%씩 부과하게 된다.
아울러 이날 방통위는 KT와 SK텔레콤이 제시한 와이브로 정책방향도 의결했다. 추진전략으로서 LTE?와이브로 병행발전을 설정하고, 최근 급증하는 3G?LTE 트래픽 분산과 데이터 중심 서비스망으로 와이브로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키로 했다.
이와 함께 국내 원천기술인 와이브로의 기술경쟁력을 유지?확산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와이브로 활성화를 위한 세부 추진계획으로는 ①지하철?고속도로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커버리지 추가 구축과 공공용 공유기 설치를 통한 시내?광역 버스 등의 이용자 접근성 제고 ②보다 싼 가격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3G?LTE 결합요금제와 와이브로 단독상품 요금제 출시 ③데이터 중심의 와이브로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노트북?태블릿PC?개인용 공유기(에그/브릿지) 보급 확산 ④와이브로와 LTE가 공통 활용 가능한 기술개발과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 지원 등을 제시했다.
한편, 방통위는 와이브로 주파수를 ‘무선랜 중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신에 적정한 할당대가를 추가로 부과키로 했다. 이는? ‘09년 스마트폰 도입 이후 급증하는 무선 트래픽 해소를 통한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고, 주파수 이용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다.
무선랜 중계란 지하철?버스 등에 설치된 공공용 에그/브릿지를 통해 와이파이를 중계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