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이석채 www.kt.com)와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정진엽 www.snubh.org)은 양사가 공동연구를 통해 왕래가 힘든 환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앱은 현재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 중이며, 이를 통해 공동 연구 결과물의 의학적 이익을 검증하고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KT와 분당서울대병원은 임상시험 및 시범서비스를 거쳐 내년 중 상용화할 예정이며, 이번 성과물을 기반으로 u헬스(u-Health)관련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KT와 분당서울대병원은 6일 분당서울대병원 대회의실에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u-헬스 시연회를 가졌다. 이날 KT 이석채 회장(사진 왼쪽)과 분당서울대병원 정진엽 원장(사진 오른쪽)은 만성창상 환자를 위해 개발된 앱 이용방법을 직접 체험하기도 했다.
양사에 따르면, 올해 2월부터 만성창상관리, 천식관리, 경도인지장애, 심전도 관리 등 총 4개의 분야에서 의료와 IT를 융합, 환자들이 스마트 IT인프라를 활용하면서 병원 왕래는 최소화하고 증상 개선효과는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춰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만상창상관리 앱은 보호자가 환자의 상처와 진물 등을 스마트폰 앱을 이용, 촬영하면 상처의 상태가 진단에 맞게 자동 체크돼 병원 시스템에 전송되면 의료진은 전송된 상처 크기나 상태를 체크한 후 적절한 소독과 드레싱에 사용할 약제를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욕창 관리 앱 개발에 참여한 분당서울대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는 “욕창은 2주 간격으로 적절한 드레싱 방법을 처방해 줘야 한다”며, “이번 앱을 통해 환자 상처를 확인하며 관리할 수 있어 환자 편의성이 나아짐은 물론, 처방과정도 훨씬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
또한 경도인지장애 관리는 병원에서 받아야 했던 인지재활훈련을 가정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한 앱으로, 이 앱을 이용하면 패드를 통해 가정에서 스스로 테스트를 하면서도 인지재활효과가 나타나도록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김기웅 교수는 “가정에서 잘 이용하면 자습 한 달이 병원의 두 달 훈련효과를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천식 관리 앱은 천식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바로 휴대중인 측정기를 스마트폰과 연결해 현재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데이터는 의료진에게 문자메시지로 바로 연락, 위험도가 높은 데이터라면 119등에 바로 연락, 환자가 응급상황을 빨리 조치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심전도 관리 앱은 휴대용 심전도 측정 장비를 스마트폰과 연결해 실시간으로 심전도 데이터를 병원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고 이를 의료진이 확인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의료정보센터장 이학종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앱은 의료진들이 IT기술 적용으로 환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 모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임상시험을 통해 개발된 앱을 이용한 질병관리가 실제 환자에게 의학적인 이익이 있다는 검증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KT 종합기술원 기술개발실장 박윤영 상무는 “u-헬스는 IT와 의료가 융합된 새로운 영역으로 양쪽 기관의 상생 협력이 절실한 분야이다”며, “앞으로도 이런 의료 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분야에서 u-헬스 연구를 지속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한편, KT 종합기술원과 분당서울대병원은 이날, 분당서울대병원 대강당에서 KT 이석채 회장과 분당서울대병원 정진엽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폰과 패드 등 IT기기를 이용한 만성질환 관리 공동 프로젝트 결과 발표회를 가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