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정만원, www.sktelecom.com)은 13일, 중소기업과의 동반 성장을 위한 상생활동의 일환으로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을 지원하는 ‘특수목적 단말 테스트센터’를 분당 사옥에서 이날 오픈한다고 밝혔다.
?
‘특수목적 단말’이란 일반적 휴대폰을 제외한 모든 통신 단말로서 주로 사물통신(M2M) 기기이다. 주기적으로 소모 전력량을 측정해 송신하는 원격검침기, 콜 받는 기능이 포함된 택시용 내비게이션, 성 폭력자 통제를 위한 전자발찌, 택배 기사용PDA, 피자/치킨 배달시 사용되는 신용카드 결제기 등이 모두 특수 단말이다.
기존에 SK텔레콤은 서비스 개발업체들의 편의를 위해 ‘MD 테스트 센터’를 운영해 생활정보, 게임 등 각종 서비스를 테스트 할 수 있도록 SK텔레콤의 모든 단말을 무상으로 대여해왔다.
이와 달리 이번에 새로 세워지는 ‘특수목적 단말 테스트센터’는 중소 단말 제조사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단말을 개발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
‘특수목적 단말 테스트센터’에서는 특수 단말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 우선 하드웨어 지원으로 고가의 통신 테스트 장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통신 단말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RF측정 가능 3D OTA(Over The Air) Chamber(챔버) 테스트가 반드시 필요한데, 이 테스트를 통해 여러 전파 환경에서 개발 단말이 원활히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이 장비로 테스트를 받기 위해서는 고가의 비용이 소모돼 중소 단말 개발사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그러나SK텔레콤이 무상으로 해당 장비 테스트를 제공함에 따라 중소기업들은 해당 테스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을 위한 상주 인력도 배치된다. ‘특수목적 단말 테스트센터’에서 중소기업 개발자들은 SK텔레콤 통신망 규격이나 필요 절차 등에 대해 상세히 안내 받을 수 있다. 또한 신규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고 할 수 있도록, 기 출시된 특수 단말 30여종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업체들이 단말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했다.
?
‘특수목적 단말 테스트센터’ 오픈과 동시에 SK텔레콤은 중소 단말 제조사들의 개발 기간 단축과 편의 확대를 위해 단말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고, 하드웨어 신뢰성을 테스트하는 인증 기관을 기존 4곳에서 11곳으로 확대했다.
?
SK텔레콤 하장용 네트워크 부문장은 이날 오전 열린 테스트 센터 오픈 행사에서 “비즈니스 파트너의 역량 향상이 곧 SK텔레콤의 경쟁력 강화”라며, “이번 테스트 센터 구축으로 중소 ICT기업에게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