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휴대폰 위치검색 ‘써볼까?’

      실내 휴대폰 위치검색 ‘써볼까?’에 댓글 닫힘

무선랜과 GPS, 네트워크 방식의 장점을 복합, 실내?외에서 정확한 위치검색이 가능한 신기술이 개발됐다. SK텔레콤이 7일부터 상용서비스에 들어간다.

SK텔레콤(대표 정만원 www.sktelecom.com)은 무선랜(Wi-Fi), GPS,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이용한 위치측정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차세대 위치검색 기술 ‘HPS(Hybrid Positioning System, 복합측위시스템)’를 개발, 7일부터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통해 친구찾기, 자녀안심 등 위치기반서비스의 검색정확도를 대폭 높여준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그 동안 휴대전화를 활용한 위치검색기술은 기지국 정보, GPS를 통해 정확도를 높여왔지만, 기술 별로 장?단점이 뚜렷해 위치측정을 요청하는 지역에 따라 서비스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다소 오차가 발생하기도 했다.

SK텔레콤이 무선랜·GPS·네트워크 방식의 장점을 복합해 실내·외에서 정확한 위치검색을 가능토록 한 차세대 위치검색 기술 'HPS'를 7일부터 상용화한다.

정확도가 가장 뛰어난 GPS수신 방식의 경우, 측정오차가 10~50m에 불과하지만 건물 내부와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신호수신 자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기지국 방식을 이용하면 이동통신이 가능한 실내?외 모두 위치측정이 가능한 대신 오차범위가 200m~2km에 달했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HPS’는 기존 GPS, 네트워크 방식의 장점에 실내에서도 탁월한 위치검색이 가능한 무선랜 기반의 위치검색기술을 더해 실내?외 제약 없이 위치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측정오차도 평균 50m 내외로 현존 세계 최고의 정확도를 구현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HPS’는 기본적으로 GPS를 활용하되, GPS신호 수신이 어려운 실내에서는 무선랜 신호로 위치를 분석해 정확도를 높이고, 무선랜과 GPS 모두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네트워크 기지국 기반 위치검색 정밀화 기술(pCell)을 이용, 측정정확도를 높이고 음영지역도 없앤다.

‘pCell 방식’은 기지국 신호 패턴에 따라 전국을 9300만 개의 격자로 나눠 데이터베이스화 후 단말기의 위치 요청 시 해당 무선전파 패턴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찾아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한 측위오차가 500m~2km인데 반해, pCell방식 이용 시 200~300m로 정확도가 향상된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위치검색 정밀화 기술, 'pCell 방식'

특히, 실내에서도 위치기반서비스를 가능토록 하는 무선랜 기반 위치측정 경우, SK텔레콤은 올 초부터 무선랜 전파 지도 구축을 시작해 7월 현재 전국 26개시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DB 패턴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독자 알고리즘을 적용해 정확도를 높였다고 강조했다.

와이파이 DB를 5억 8천 만 개로 세분화해 정밀한 위치검색을 가능케 했다고 밝힌 SK텔레콤은 이를 더욱 정교하게 하기 위해 8월말까지 전국 46개시(인구 커버리지 80% 이상)로 무선랜 전파 지도 구축을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HPS’를 7일부터 증강현실서비스 ‘오브제’와 친구찾기 서비스에 우선 적용하고, 이달 말 가족안심?팅안심(자녀안심), 8월 모바일 신용카드 등 자사 위치기반서비스에 순차 적용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친구찾기, 오브제, 안심서비스 이용자는 보다 정확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GPS모듈과 와이파이가 장착된 스마트폰 보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HPS’ 기술을 이용한 혁신적인 위치기반서비스 등장도 예상된다. 예를 들어, 기존 GPS방식으로는 구현이 어려운 건물 내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해져, 대형쇼핑몰?백화점?공항 등에서 사용자 위치에 따라 층별안내 및 이벤트?쿠폰 제공, 주변상점 검색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된다.
?
‘HPS’는 별도의 하드웨어나 전용 칩 없이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가능한 기술로, 무선랜과 GPS가 탑재된 안드로이드폰 3종(갤럭시A, 갤럭시S, 시리우스)에서 ‘오브제’ 서비스를 다운로드 혹은 업그레이드하면 와이파이 측위 모듈이 자동 설치돼 사용이 가능해진다.

SK텔레콤은 첫 적용되는 안드로이드폰 3종 외에도 기타 안드로이드폰과 윈도모바일폰 등 지원기종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 임종태 Network기술원장은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은 차세대 위치검색 기술을 통해 고객들에게 혁신적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며, “향후 고도화된 위치검색 기술을 이용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무선인터넷 활성화에 앞장 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와이파이 AP를 통한 측위기술, pCell기술 등 ‘HPS’와 관련된 특허 26개를 출원 중이라고 덧붙였다.

(Visited 516 times, 1 visits today)